전주시, 생태교통·천만그루 정원도시로 온실가스 배출 ‘0’ 목표

‘2050 탄소중립’ 선언 후 2050년까지 단계별 감축
TF팀 구성, 신재생에너지 확산·스마트산단 등 추진

김승수 전주시장

전주시가 생태교통과 천만그루 정원도시 정책 등으로 2050년까지 온실가스의 실질 배출량을 ‘0’으로 만들고자 한다.

시는 ‘전주시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시정 전반에서 온실가스 감축 성과관리를 하고, 연말까지 세부추진계획을 수립한다고 17일 밝혔다.

생태교통 인프라·그린모빌리티 선도를 비롯해 △신재생에너지 확산 △건물 그린 리모델링 △스마트 산단 조성 △천만그루 정원도시 조성 △폐기물 저감 및 녹색자원 전환 △로컬푸드 활성화 △시민환경교육 △탄소중립 실행 기반 구축 등 2050 탄소중립을 위해 발굴한 9개 추진전략을 구체화하는 게 핵심이다.

지난 2017년 조사결과, 전주지역 온실가스 배출량이 도로·수송과 상업 부문에서 6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태교통과 에너지 대전환 체계 구축, 녹색산업 전환 등에 중점을 두기로 했다. 시는 1단계(2021~2030년), 2단계(2031~2040년), 3단계(2041~2050년)로 감축로드맵을 설정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30%에서 100%까지 단계적으로 줄일 계획이다.

시는 기후위기 기금 조성 및 시민 탄소중립 실천 교육 및 활동, 민·관 거버넌스 운영 등의 시민 참여방안도 강구하기로 했다. 또 기후위기 대응 태스크포스팀과 전문가 그룹, 민·관 거버넌스 등이 함께하는 전주시 탄소중립도시 실행계획 추진체계도 마련키로 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탄소 중립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전지구적 과제이자 30년 후 우리 아이들이 숨을 쉬고 꿈을 꾸며 살 수 있게 하는 가장 기본적인 의무”라며 “2050년 탄소 중립 실현을 위해 시정의 모든 정책들을 점검하고 분석하여 탄소 제로를 구현하고, 전문가와 각계각층의 의견을 모아 일상 속에서 하나하나 실천해나갈 수 있도록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