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형 '배달의 민족' 기대와 과제] 지역상인 수수료 수백억↓…동네별 포장수거 등 차별화 관건

전주시, 공공배달앱 개발 계획
전주형앱 월 160만원 절감효과
동네기반 차별화 강점 요구돼
지역화폐 도입 설계 세심해야

전주시가 전주형 ‘배달의 민족’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이후 도래한 배달주문 시대에서 자치단체의 공공 배달앱 도입은 필수라는 것. 국내 배달앱 시장이 배달의민족, 요기요, 배달통 등 대기업 독과점으로 가면서 중개·광고 수수료 상승, 이에 따른 지역 소상공인 부담 증가는 명약관화(明若觀火)라는 얘기다. 그러나 시민에게 외면 받는 공공 배달앱은 세금낭비라는 우려도 나온다. 전주 공공 배달앱의 기대효과 및 과제를 분석해봤다.

 

△전주 식당들, 수수료 370억 원 절감

전주시가 공공 배달앱을 운영하려는 가장 큰 이유는 지역 소상공인들의 수수료 절감효과와 판로지원이다. 시 관계자는 “비대면 사회 확산으로 스마트폰 앱을 통한 배달주문이 더 일상화될 것”이라며 “전주시 소상공인들이 전주형 앱을 사용할 경우 연간 최대 370억 원의 운영비를 절약할 수 있다”고 했다.

전주형과 기존 민간 배달앱 사용비를 분석한 결과, 월 매출 2500만 원인 점포를 기준으로 민간앱은 월사용비가 265만~400만 원이었고 전주형 배달앱은 104만 원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소상공인이 전주형 앱을 쓰면 최소 160만 원에서 340만 원을 절감하는 셈이다.

실제로 지난해 민간앱에 가입한 전주지역 식당 5400여 곳이 낸 연간 민간앱 수수료와 비교하면, 전주형앱에 가입할 경우 연간 수수료 370억 원을 아낄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민간앱은 주문중개수수료 7.5~12.5%·광고비 7만~8만 8000원인 반면, 전주형 배달앱은 주문중개수수료가 2%·광고비가 없기 때문이다. 또 전주형앱이 지역화폐(전주사랑상품권) 결제와 결합하면 카드결제 수수료도 절약할 수 있다.

 

△대기업 못하는 동네밀착형으로

지역 식당들이 전주형 배달앱에 가입해 수백억 원의 수수료 절감 효과를 보려면, 편리성·다양성을 무기로 한 대기업 민간앱이 할 수 없는 동네밀착형 공공앱이 돼 전주시민 중심으로 가야 한다. 수요를 확실히 끌어오지 못하면 지역 업체들이 양쪽 앱을 가입해야 하는 이중 부담을 안게 돼서다.

지역화폐·사회적경제 분야 전문가인 이재민 전주대 창업경영금융학과장은 “민간 배달앱을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차원이 아니고 지역기반의 다른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 시스템이 만들어져야 수수료절감 효과를 넘어 이용시민, 지역사회에 필요와 의미가 있다”고 했다.

이 교수는 한 사례로 전주지역을 권역별로 나눠 ‘음식배달과 포장쓰레기 처리 결합’시스템을 제안했다. 배달주문이 폭증하면서 일회용 배달포장쓰레기 문제가 대두됐는데, 권역별로 업체들이 공통된 친환경 포장지를 사용하거나, 공유형 일회용 용기 처리·배달그릇 회수를 하는 방식이다.

이처럼 홍보·할인뿐만 아니라 전국 공통의 대기업 배달앱이 하기 어려운 특화된 서비스 제공이 요구되는 가운데 지역화폐 도입의 세심한 설계도 과제다.

지역화폐를 통한 배달앱 결제는 업체의 수수료 절감·주문자의 충전식 적립 등의 혜택이 있지만, 자칫 지역업체간 매출쏠림이 커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의 시각이다.

거주동네를 중심으로 비교적 지역 곳곳에서 고르게 소비됐던 지역화폐가 물리적 거리가 사라지는 배달주문에도 도입되면서, 배달불가 업체의 불만과 지역 유사업종간 경쟁을 부추길 수도 있다는 우려다.

지난해 지역 공공배달앱 ‘배달의 명수’를 안착시킨 군산시 관계자는 “지역사랑상품권 결제율이 월평균 60%를 넘는데, 지역경제 큰 틀에서 선순환 효과가 있다”며, “올해는 그간 제외됐던 슈퍼, 의류 등 다양한 업종을 담은 종합쇼핑몰 앱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