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가격 인상에다 장비임대료까지 상승...건설업계 죽을 맛

대부분 70만원대 수준으로 설계된 철근가격 톤당 120만원...건설장비 임대료까지 인상압박

전북지역 건설공사 현장이 철근 등 원자재가 급등으로 허덕이고 있는 가운데 건설장비 임대료까지 인상될 조짐을 보이면서 시공업체들의 어려움이 더욱 가중될 전망이다.

최근 건설장비 노동자들의 노동시간이 10시간에서 8시간으로 줄어 사실상 임대료가 20% 오른 셈이었었지만 민주노총이 건설장비 사용료 인상을 요구하면서 가뜩이나 건자재가격 상승으로 골머리를 앓고있는 건설업체들의 고민이 커지고 있다.

25일 도내 건설업계에 따르면 철근유통가격이 톤당 110만원으로 오른 상황에서 공급난까지 겹치면서 전북지역 건설사들이 실제 구입하는 철근가격은 이보다 10~20만원씩 추가되고 있다.

문제는 이 같은 건자재 가격 인상이 공사금액에 제대로 반영될지가 불투명하다는 것이다.

레미콘과 아스콘의 경우 관급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시멘트와 아스팔트 가격 인상에 따른 별다은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사급으로 공급되는 철근의 설계당시 톤당 70만 원 대 수준으로 책정돼 있어 계약금액 변경을 둘러싼 발주처와 시공사간 첨예한 갈등이 전개되고 있다.

철근가격 폭등에 따른 설계변경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하도급 업체들의 고통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민간공사의 경우 최저가낙찰제로 계약이 체결돼 있어 50% 가까이 폭등한 철근가격때문에 적자시공이 불가피 한데다 공급부족으로 공사기간마저 길어질 것으로 예상돼 당초 공기를 제대로 맞추기 어렵기 때문이다.

여기에 민주노총이 하루 50만원인 포클레인 임대료를 60만원으로 인상을 요구하면서 원가상승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포클레인 임대료가 오를 경우 덤프와 타워크레인 등 다른 건설장비 임대료도 덩달아 오르기 때문에 가뜩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직격탄을 맞고 있는 건설업체들이 감내하기 어려운 상황이 전개될 전망이다.

건설업체들은 이 같은 원가상승이 표준품셈에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협회차원의 대응을 요구하고 있다.

전북지역 건설업체 A사 대표는 “가뜩이나 원가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건설장비 임대료까지 인상될 전망이지만 건설공사 표준품셈에 이 같은 현실상황이 반영되지 않고 있다”며 “건설협회 차원에서 민주노총과 상생을 위한 협의와 원가상승에 따른 공사비 인상을 품셈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