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케도니아 알렉산더 대왕이 그리스에서 이집트-인도 북부에 이르는 대제국을 건설하고 바빌론에서 병으로 사망했을 나이는 33세. 지중해 변방 코르시카섬 출신 나폴레옹이 스스로 황제의 관을 쓰고 프랑스 제정(帝政)시대를 연 것이 34세다.
이처럼 역사적으로 20~30대에 영웅적 발자취를 남긴 위인이 많다. 경험과 연륜이 아니라 패기·용기와 지혜로 시대를 변화시킨 이들은 다름아닌 ‘젊은 피’들이다.
최근 이준석(36) 전 최고위원이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여론조사에서 지지율 1위를 차지하며 2030세대에서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정세균 전 국무총리가 ‘장유유서’란 발언을 하자 이 전 최고위원은 정 전 총리의 발언을 두고 “제가 말하는 공정한 경쟁이라는 것이 이런 것이다. 시험과목에서 ‘장유유서’를 빼자는 것”이라며 “그게 시험과목에 들어 있으면 젊은 세대를 배제하고 시작하는 것”이라고 대응했다. 이 전 최고위원의 발언은 2030세대의 큰 공감을 얻었다. 이 전 최고위원의 이러한 생각은 정치권을 넘어 사회 전반으로 확산하는 모양새다.
신동근 씨(31·전주 호성동)는 “우리세대는 초등학교 시절부터 치열한 경쟁을 치러왔고, 공정한 경쟁을 통해 사회에 입문하기 시작했다”며 “하지만 사회는 공정함과 신선함보다는 윗사람의 경험과 판단이 더 높게 여겨지는 고참문화를 더 중요시했다. 지금이라도 이런 고리타분한 문화를 조금씩 바꿔가야한다”고 말했다.
설동훈 전북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는 “새로운 변화를 캐치해내고 변화를 주도했던 사람은 항상 젊은층이었다. 젊은세대가 대거 사회에 유입되면서 세대교체를 갈망하던 사회의 목소리가 반영된 것”이라며 “지금의 젊은세대는 디지털이 유입되고 빠른 변화에 적응도 빠른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기성세대는 적응도 느리고 젊은세대와의 격차가 크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우리 사회에는 아직도 장유유서를 기반으로한 규칙이 내면에 남아있다. 경험으로 축적된 지식도 중요하다”면서도 “무조건 적인 장유유서를 강요하기보단 젊은세대의 요구를 수용하면서 기성세대의 경험이 잘 조화가 이뤄지는 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