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공모 도전…전북도, 탄소산업으로 승부

정부, 산업단지의 탄소 배출 감소 및 기업의 혁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단계적으로 조성 계획
현재 새만금 내 대규모 재생에너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조성과 함께 오는 7월 중 추가 1~2곳의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추가 선정 예정
광주, 밀양, 대구 등 공모 의사 경쟁 치열
전북도 “탄소중립 구현과 탄소의 연관성이 높은 만큼 이를 활용, 공모 선정 노력”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 전경. /전북일보 자료사진

정부가 산업단지를 탄소중립과 혁신성장을 선도하는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단 공모를 진행한 가운데 전북도가 탄소소재 국가산단을 강조한 공모 대응에 나선다.

26일 국토교통부와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달 7일 디지털화·에너지자립화를 구현한 스마트그린 산업단지의 단계적 조성을 담은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추진전략’을 논의·확정하고 관련 공모 사업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그간 개별기업이나 기존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스마트그린으로의 전환을 추진해 왔으나 보다 디지털·그린 경제의 전환과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신규 조성단계부터 스마트그린 산업단지로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 이에 스마트그린 국가 산단 조성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오는 2030년까지 전국 35곳에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계획 중인 정부는 현재 그 첫 단추로 새만금 권역 내 RE100이 실현되는 스마트그린 산업단지 조성을 추진 중이다.

이와 함께 스마트그린 산단 조성을 가속화하고자 국가 지정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오는 6월까지 지자체에 신청을 받아 7월 중 1~2곳의 추가 사업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공모가 발표되자 전북도는 오는 10월 착공 예정 중인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도는 공모 선정으로 전주 탄소소재 국가산단에 에너지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에너지 인프라 구축 및 스마트공장과 같은 디지털 인프라, 그리고 친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기반시설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타 지자체의 경쟁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현재 관련 공모에 관심이 있는 지역으로는 광주, 밀양, 대구 등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이들 지자체에서는 공모 선정을 위한 다양한 물밑 경쟁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일각에서는 새만금 내 이미 스마트그린 국가시범산업단지가 있는 만큼 이를 이유로 타지역에 스마트그린 산단을 선정해야 한다는 견제가 나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결국 이러한 견제들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전북만의 전략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현재 추진 중인 탄소 산단은 향후 관련 기업들이 집적화하고 이를 통해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필요한 다양한 탄소 부품, 장비 등이 만들어지는 만큼 이러한 부분들을 내세워 공모에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북도 관계자는 “현재 공모 선정에 대응하기 위해 전주시, LH와 함께 협업 대응하고 있다”며 “탄소중립 구현을 위해 탄소산단의 역활도 중요하고 연관성도 높은 만큼 이를 강점으로 내세워 공모 선정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