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기준 금리 인상 카드를 만지면서 코로나19로 신음하는 전북 중소기업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자금 조달이 어려운 중소기업의 특성상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으려는 곳은 언제 오를지 모를 금리 소식에 냉가슴을 앓는 형편이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로부터 금리 인상이 필요성 대두되고 국내에서도 한국은행이 코로나19 여파로 1년 가까이 이어온 통화 완화 정책 기조를 바꿀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9일 한국은행 전북본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5월 이후 이달 현재까지 기준금리가 0.50%로 동결 유지되고 있다.
하지만 기준금리 변경 요인이 발생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기준금리 변경은 단기시장금리, 장기시장금리,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 등 금융시장의 금리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경우 콜금리 등 단기시장금리는 즉시 상승하고 은행 예금 및 대출 금리도 대체로 상승하며 장기시장금리도 상승압력을 받는다.
지난 3월 한은이 조사한 전북지역 28만여곳의 중소기업 자금 대출 현황을 보면 비은행금융기관 여신은 10조 2175억원에 달해 은행권 보다 20% 가량 더 많은 실정이다.
가뜩이나 상대적으로 은행권보다 많은 대출금리를 부담하고 있는 상황에서 기준금리가 오르게 되면 대기업 보다 자금 유동성이 취약한 중소기업에 미칠 파장은 적지 않을 전망이다.
이와 같은 금리의 움직임은 소비는 물론 기업들의 투자에도 영향이 미치기 때문에 부채비율이 높은 중소기업은 심각한 위기 상황을 맞을 수 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내수 부진과 치솟는 원자재값 상승에도 불구하고 경기 회복을 꾀하던 중소기업은 금리 인상으로 투자를 재고할 가능성이 크다.
이때문에 정부의 정책자금 금리 지원 등 특단의 대책 주문이 중소기업들로부터 나오고 있다.
박승찬 중소기업중앙회 전북본부장은 “주52시간 근로시간 감축, 운송비 등 기업의 비용 증가 요인이 많은 상황에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 대출을 유지하려는 중소기업의 경제 여건은 훨씬 더 어려워진다”며 “금리를 인상한다면 대출 만기 연장이나 이자상환 유예 같은 조치도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