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2분기 경기 소폭 개선… 향후 소비, 수출 증가 전망

코로나19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북지역의 올해 2/4분기 경기가 생산과 수요 활동 모두 전분기 보다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향후 건설투자의 경우 건설 자재 수급 불안으로 불확실할 전망이다.

29일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지역내 업체 및 유관기관(총 54개)을 대상으로 실시한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2021년 2/4분기 전북 경기는 2021년 1/4분기에 비해 소폭 개선됐다.

생산측면에서 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전분기 대비 소폭 증가한 것으로 철강의 경우 자동차 산업 등 전방산업의 업황 흐름이 개선되며 수주가 증가했다.

화학의 경우 코로나19로 가구, 가전 등 수요 확대에 따라 합성수지 생산이 증가했다.

금속가공제품을 보면 수소차 판매 호조로 수소연료탱크의 생산이 증가했고 전자부품도 비메모리 반도체를 중심으로 소폭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재래시장)의 경우 1/4분기의 부진한 상황이 지속됐으나 대형소매점이 도내 코로나19 확산세 둔화에 따라 방문객 수가 증가하며 소폭 증가했다.

부동산업은 주택매매가격과 거래량 모두 상승하면서 증가했다.

소비측면에서 보면 서비스는 도내 코로나19 확산세 둔화 및 백신 접종에 따라 소비 심리가 회복되면서 숙박 및 음식점업을 중심으로 부진이 완화됐다.

2021년 2/4분기 수출은 전년동기대비 큰 폭으로 증가했다.

화학의 경우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수출은 감소했으나 중국의 합성수지 수요가 확대되며 전체적으로는 증가했다.

기계의 경우 건설기계는 수출대상국의 건설경기가 회복되는 가운데 국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신흥국의 채굴수요도 늘어나면서 증가했고 농기계는 북미지역 소규모 농업 관련 수요가 지속되며 견조한 흐름세를 보였다.

1차 금속의 경우 철강은 글로벌 수요 회복세가 지속되고 단가도 상승하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철금속도 동제품을 중심으로 크게 증가했다.

금속가공은 자동차, 선박 등에 들어가는 수소연료탱크 수출이 증가세로 상용차는 중동 등 주요 수출지역으로의 수출이 부진한 모습을 이어갔으나 전년동기 저조한 수출실적에 대한 기저효과로 증가했다.

한국은행 전북본부 관계자는 “향후 제조업과 서비스업 경기가 개선되고 수출은 코로나19가 확산됐던 지난해 기저효과에 전년동기대비 큰 폭 증가할 것”이라며 “건설투자는 민간이 증가세를 유지하는 가운데 공공부문은 새만금 개발 관련 공사 및 SOC 관련 예산집행이 지속될 전망이나 건설 자재 수급 불안에 불확실성이 상당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