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제1산단의 쇠락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난 1967년 전주 덕진구 팔복동 일대 180만여㎡에 조성된 제1산단은 조성된지 50년이 넘다보니 인프라와 공단시설 등의 노후화로 슬럼화를 면치 못하고 있다. 또한 주차장 등 각종 편의시설은 물론 물류 등 지원시설의 미비가 공단 침체로 이어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고 있다.
현재 제1산단에는 130개 입주업체에 2864명의 근로자가 일하고 있으며, 연간 생산액은 8000억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휴비스 등 소수 대기업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섬유 등 경쟁력이 떨어지는 노동 집약적 중소규모 업체들이다. 처음 입주할 당시인 60∼70년대 업종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시가 2016년 제1산단을 첨단산업 단지로 변신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섬유및 의복 등을 제한업종으로 규정했다. 이들 업종의 신규 입주가 규제되면서 단지는 더욱 활력을 잃고 있다.
노후화된 산단의 문제점을 인식한 전주시가 지난 2011년 재정비를 위한 용역을 실시했다. 지역경제에 새로운 원동력으로 떠오른 탄소산업과 연계한 개선책을 마련했으나 비슷한 시기 시행된 정부의 노후산단 재정비 공모사업에 선정되면서 전주시의 계획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그러나 정부 사업이 대부분 도로 신설이나 확장 등 인프라 위주로 추진되고, 사업 대부분이 첨단산업 단지 등에 집중되면서 제1산단의 개선사업은 현재도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가 2019년 노후산단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발표한 ‘산업단지 대개조 사업’으로 시행하는 공모에 지난 6월 도내에서는 군산 국가산단을 비롯, 익산 제2일반산단, 완주 과학산단, 새만금 국가산단 등이 선정됐지만 전주산단은 빠졌다. 대규모 산단 위주 선정에 밀린 것이다.
노후화가 극심한 전주 제1산업단지의 경쟁력 저하와 슬럼화 문제를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된다. 인프라와 편의시설 등을 보강해 쾌적하고 생산성 높은 산업환경으로 바꿔야 한다. 그래야 기업들의 투자도 이뤄지고 양질의 일자리도 창출될 수 있다. 전주 제1산단의 근본적인 환경개선과 변신을 위한 정교한 대책 마련을 거듭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