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5일 대선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이 전 대표는 ‘신복지·중산층경제·헌법개정·연성강국 신외교·문화강국’ 등 5가지 정책 비전을 제시하고, “그 일을 제가 하겠다”면서 중산층 강국으로 가겠다는 의지를 천명했다.
특히 그는 “모든 것을 제 자리로 돌려 놓겠다”며 “상처받은 공정을 다시 세우는 일을 제가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10년 전 65%였던 중산층이 지금 57%로 줄었다”면서“중산층이 두터워야 불평등이 완화되고 사회가 위기에 강해진다. 중산층 경제를 만들어 중산층을 70%로 늘리겠다”고 단언했다.
‘내 삶을 지켜주는 나라’라는 슬로건 아래 중산층 경제로 대표되는 ‘NY(낙연) 노믹스’도 구체화 됐다.
이 전 대표는 “우리나라는 김대중 정부 이래 복지를 본격 추진해 왔지만, 아직도 인간으로서 최소한의 생활을 하지 못하는 국민이 있다”며 “누구나 인간으로서 최저한의 삶을 보장받아야 한다. 그것이 신복지의 출발점”이라고 말했다.
신복지 실현방법으로는 일자리를 강조했다. 이 전 대표는 “금수저·흙수저가 세습되지 않고 계층 이동이 더 활발해져야 한다”며 “일자리와 세제와 복지가 그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경제분야에 대해서는 “IT, 바이오, 미래차, AI 같은 첨단 기술 분야와 지구를 지키는 산업을 강하게 육성 하겠다”고 방향을 제시했다.
이 전 대표는 개헌 추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사회경제적 민주주의를 강화하도록 헌법을 개정하겠다”며 “특히 수도권과 지방의 균형발전을 힘차게 추진하도록 헌법에 확실한 근거를 두고 싶다”고 했다.
또 “헌법에 생명권·안전권·주거권을 신설하고 토지공개념을 명확히 해 부자들이 불로소득을 독점하지 못하게 막겠다”면서 “땅에서 얻은 이익을 좀 더 나눠 사회 불평등을 줄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 전 대표는 특히 “한반도의 평화를 제도적으로 정착시켜야 한다”며 “북한 핵 문제는 포괄적 합의, 단계적 이행의 틀로 해결할 수 있다. 그렇게 하도록 한국이 더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사회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 없는 사람은 더 어려워지고 외로운 사람은 더 외로워졌다. 청년을 비롯한 많은 사람들이 세상의 불공정에 항의하고 있다”면서 “상처받은 공정을 다시 세워야한다”고 역설했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 정통성을 지키고 발전시킬 후보가 자신이라고 확신하기도 했다. 이 전 대표는 “민주당에서 세 분의 대통령을 모셨다. 김대중, 노무현, 문재인 대통령은 (저에겐)학교였다. 그분들에게 정치를 배웠고 정책을 익혔다. 좋은 철학은 계승하고 문제는 보완할 것“이라고 했다.
아울러 “국민 여러분의 마음을 얻으려면 우선 저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는 것을 잘 안다”며 “저의 약속을 한마디로 줄이면 코로나든, 정치든, 경제든, 복지든, 외교든 모든 것을 제자리로 돌려놓겠다는 것”이라고 다짐했다.
한편 이낙연 전 대표의 대선캠프 이름은 이날 발대식을 앞두고 ‘필연캠프’로 정해졌다. 캠프 이름에는 ‘필승 이낙연’의 줄임말과 ‘이낙연 대통령은 필연이다’, ‘이낙연의 대선 승리는 필연이다’는 뜻이 함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