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내 변이 바이러스의 위험도가 커지고 있지만 변이 바이러스 판별 최종 권한이 질병관리청에 있어 전북에서도 자체 판별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5일 질병관리청과 전북도 등에 따르면 전북에서 발견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는 92명으로 알파형 변이 바이러스 75건과 델타 변이 바이러스 8건, 기타 9건 등이다.
감염력이 높아 위험성이 큰 델타 변이 바이러스의 경우 8건 중 4건이 전북 지역 내에서의 감염된 사례다.
더욱이 이 사례 중 2건이 누적 확진자만 17명에 달하는 집단감염의 확진자로부터 채취된 검체로 사실상 이와 관련된 17명 모두가 델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문제는 이 델타 변이 바이러스가 높은 위험성으로 방역체계에 부담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델타 변이 바이러스는 영국형인 알파 변이보다 1.6배 정도 전파력이 높고, 입원율은 2.26배 정도로 보고 있다.
또 일부 연구에서는 백신에 대한 중화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
이렇게 위험성이 큰 변이 바이러스이지만 이를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판정해주는 곳은 질병관리청과 일부 검역소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도에 따르면 전북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판별을 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질병관리청의 최종 확인을 거쳐 판별되는 구조다 보니 자체적으로 결과를 가지고 있어도 내부 참고용으로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변이 바이러스 최종 확인까지는 전북보건환경연구원에서 질병관리청으로 검체를 보냈다가 질병관리청에서 다시 전북도로 결과를 보내기까지 최소 일주일 이상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결국 이러한 시간적 공백이 발생하면서 가뜩이나 위험성이 높은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물론 확진자에 대한 격리 조치 등이 진행되는 만큼 방역체계 내에 있는 확진자의 경우 위험성이 높지 않을 수 있지만 보다 더 신속한 대응을 위해서는 자체 판별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현재 알파, 베타, 감마 변이에 대해서는 질병관리청 그리고 질병관리의 권역센터 그리고 15개의 시·도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특히 보건환경연구원에서는 PCR 분석법을 활용해서 선별검사를 진행했고, 최근에 저희가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일치도가 높아서 보건환경연구원에서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조치를 해, 조금 더 신속하게 검사가 될 예정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