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우리는 결국 숲으로 간다

김주순 시인, 숲을 통해 깨닫는 삶의 의미, 일상사 시집으로 펴내

숲 해설가이자 시 낭송가인 김주순 시인이 시집 <우리는 결국 숲으로 간다> (신아출판사)를 펴냈다.

시집에는 다채로운 언어로 자연과 삶의 내면을 들여다 본 작품 87편이 담겨 있다. 그는 대자연이 선사하는 아름다움과 삶의 본질에 주목한다. 그는 자연에서 위로받고 삶의 의미를 성찰한다. 그리고 사람 사이에 사랑과 그리움, 이별에 대한 애틋함을 담아낸다.

숲 해설가로서의 면모를 드러낸 시도 있다.

“숲을 지키는 어린 왕자/나무바라기로 키를 키우고/간단한 숲 체조 마무리에/다디단 바람 마시며/숲이랑 손깍지 키고 친구가 된다”(‘유아숲의 어린 왕자’일부)

이같이 숲을 통해 삶을 통찰하는 방식은 시인만이 할 수 있다. 시인은 숲에 깊이 침잠하고 청각을 곧세우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유머와 실랄한 위트를 드러낸 시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앞으로 한 발짝/뒤로 두 발짝/게걸음을 되풀이하면서도/기어이 내 집 거실까지 와서는/술도가지가 없어졌다/알 수 없는 외래가 콸콸 쏟아진다”(‘낯선 남자’전문)

술에 취한 남편에 대한 시인데, 거짓없이 정직하고 꾸밈없는 시인의 삶이 고스란히 느껴진다. 이같이 거침없고 통쾌한 유머는 김주순 시인의 각각의 시에 적당이 섞여서 읽는 재미와 즐거움을 더해준다.

이재숙 문학평론가는 “김주순 시인은 순수무궁한 아름다운 사람”이라며 “그의 시를 읽으면 상실과 소외의 시대를 위로하는 메시지, 삶의 본질에 대한 통찰, 유머와 유니크한 위트, 숲을 통한 지속적이고도 명료한 삶의 추구, 코로나 19로 힘든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에게 보내는 치유의 문학을 엿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주순 시인은 무주에서 살면서 숲해설가와 유아숲지도사, 산림치유전도사, 시낭송가로 활동하고 있다. 전북문인협회 이사, 전북시인협회 이사,눌인문학기념사업회 이사 등을 역임했으며, 시집은 <우리는 결국 숲으로 간다> 등이 있다. 지난 2009년 ‘한국문학예술’가을호 신인상과 전북시낭송대회 대상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