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인사가 대부분 마무리된 가운데 수개월째 공석인 정무특보 자리에 대한 무용론이 또다시 오르내리고 있다.
정무 기능 강화를 위해 만들었지만 신설 이후 실제 정무특보가 근무한 기간은 1년밖에 안 돼 특정 인물을 띄워주기 위한 자리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12일 전북도에 따르면 정무특보는 지난 2018년 행전안전부와 조직개편 등에 대한 협의 끝에‘전라북도 행정기구 설치 및 정원 운영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개정에 따라 만들어졌다.
2급 상당(이사관급)인 정무특보는 공모절차 없이 자격요건 심사를 거쳐 도지사가 임명할 수 있다.
당시 전북도는 정부특보에게 당정 관련과 국회 등 다양한 정무적인 업무를 맡기고자 자리를 만든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작 정무특보가 임명된 것은 법이 개정된 지 1년이 흐른 2019년이 돼서였다.
초대 정무특보였던 이중선 전 청와대 행정관은 2019년 12월에 임명돼 2020년 12월 임기를 마쳤다.
문제는 초대 정무특보 이후 약 7개월째 뚜렷한 임명 계획이 없다는 점이다.
또 구체적인 하마평조차 없어 공석이 장기화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자칫 선거철을 앞두고 임명이 진행되면 다양한 정치적 구설수에 오를 수 있는 만큼 도지사가 임명을 조심스러워 한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하지만 공석이 장기화될 경우 결국 정무특보 자리에 대한 무용론을 인정하는 모양새가 될 수밖에 없어 전북도 역시 고민을 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북도 관계자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임명 계획은 없는 상태다”며 “다만 도지사 나름대로 생각은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