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수도권을 중심으로 확산하면서 여당 내에서 ‘경선연기론’으로 무게추가 쏠리고 있다.
수도권에 발령된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로 국민들은 생업에 큰 위협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경선을 강행할 경우 정치적 후폭풍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지금과 같이 방역비상 사태에선 대선 예비후보들이 비대면으로 경선을 치러야하는데 이는 대선승리의 필수조건인 경선흥행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도 경선연기론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당 지도부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4단계 지침이 적용되는 2주간의 추이를 살펴보고 경선 연기 문제를 다시 생각해보자는 입장이다. 이는 앞서 송영길 당 대표가 “코로나19 와중에 총선을 치러 낸 것처럼 이런 상황에서도 대선 경선을 일정대로 진행해야한다”고 발언했던 것보단 여지를 열어 놓은 것이다.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도 대선 경선후보 캠프 관계자 6명을 통해 경선 일정에 대한 각각의 의견을 수렴했다. 이상민 선관위원장은 당사에서 캠프 대리인들과 회동 후 후보 대리인 6명 중 경선 일정을 그대로 진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없었다고 전했다. 이재명 경기지사 측은 경선연기 불가론에서 당이 정하는 방침대로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민주당은 다음달 7일부터 11차례에 걸쳐 지역순회 경선을 치를 예정이다. 그러나 코로나19 확산을 고려하면 지역순회 경선의 의미가 퇴색될 수 있다.
13일 0시 기준 국내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150명으로 여전히 1000명 이상을 기록했다.
경선 연기에 반대했던 대권주자들도 입장을 대부분 선회했다. 유보적 입장인 이재명 예비후보 역시 경선 연기 불가를 강하게 고수했던 것과 비교하면 한발 물러난 모습이다,
반대 입장이었던 박용진 후보도 “앞선 경선 연기 논란은 당규상의 해석을 둘러싼 유불리의 싸움이었지만, 지금은 국민 안전과 관련된 중대한 상황이라 심각하게 고민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추미애 후보는 “2인 이상 집합금지가 된 상황에서 민심을 제대로 경청할 기회가 있으면 좋겠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낙연 후보는 “국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전면 비대면으로 (본 경선을) 이어가야 한다는 얘기인데 그게 가능할지, 국민의 관심을 모을 수 있을지 고민”이라고 말했다.
정세균 후보는 “원래 (대통령 후보 경선 진행은)후보자들 의견도 수렴해 나가면서 진행하는 것인데 요즘 (당 경선 운영이)거꾸로 가고 있다”면서“지도부가 후보들 의견을 잘 들어주지 않는다. 당이(경선연기 문제와 관련)졸속으로 처리하는 측면이 있다”고 비판했다.
김두관 후보는 “이재명 후보만 입장을 유보했고 다른 후보들은 당 지도부가 결단했으면 좋겠다고 촉구한 것으로 알고 있다. 저도 그런 입장”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