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청소년 정신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거나 계획하는 청소년들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지난 6일 보건복지부와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이 발간한 ‘2021 자살예방백서’에 따르면 2019년 도내 청소년(9~24세)의 극단적 선택 생각률은 1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2.7%p 증가한 것으로 증가율도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극단적인 선택을 계획(5.2%)하거나 실제 시도(3.8%)한 비율 또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실제로 극단적 선택을 한 청소년도 10만명당 13.4명으로 제주(16.3명)에 이어 전국에서 2번째로 높았다.
청소년들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게 하는 요인으로는 주관적 건강상태, 스트레스, 우울감 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자신의 건강 상태가 나쁘다’고 생각하는 청소년들의 극단적 선택 생각률은 33.2%로, ‘자신이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학생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는 비율(9.2%)보다 24%p나 높았다.
12개월 동안 2주 내내 일상생활을 중단할 정도로 우울감을 느낀 적이 있는 청소년들의 극단적 선택 생각률 또한 33.9%로, 우울감 경험이 없는 학생(5%)보다 28.9%p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의 극단적 선택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나는 만큼 사회적 관심과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말한다.
전주 청소년 상담센터 관계자는 “청소년들이 극단적 선택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경우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거나 극단적 선택에 대한 암시를 하는 등의 조짐을 보인다”면서 “그런 징후를 보이는 청소년이 발견된다면 이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주고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