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거리두기 격상, 역량 결집 고비 넘기자

정부가 25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 안전대책 회의를 열고, 오늘(27일)부터 비수도권 거리두기 단계를 3단계로 일괄 상향하기로 결정했다. 수도권 거리두기 4단계를 2주 연장한 결정과 함께 나온 고강도 조치다. 이에 따라 그간 거리두기 2단계였던 전주, 익산, 군산, 완주 이서(혁신도시)는 3단계로, 이들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시·군은 2단계로 격상됐다.

현재 코로나19 확산세는 그야말로 거침이 없다. 어제(26일) 0시 기준 전국 신규 확진자는 1318명 발생했다. 일요일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수치다. 지난 7일 1000명 선을 넘은 뒤 20일째 네 자릿수를 이어가고 있다.

더욱 심각한 문제가 비수도권의 신규 확진자 감염이 너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지난 18일부터 8일 연속 전국 신규 확진자 대비 30%대를 기록한 뒤, 26일에 40.7%를 기록하면서 4차 대유행 이후 저음으로 40%를 넘어섰다. 4차 대유행 직전 비수도권의 일일 확진자가 10%대 수준이었던데 비해 놀라운 확산 추세다. 수도권에서 비수도권으로 확산고리가 이어지는 전국적 대유행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전북의 경우 지난 주말 동안 모두 60명명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했다. 이 중 40여명이 소규모 집단감염으로 밝혀져 개인들의 더욱 철저한 방역수칙 준수가 요구된다.

거리두기 일괄 격상은 본격 여름 휴가철이 겹쳐 이동인구가 늘어나고, ‘풍선효과’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동시 확산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불가피한 조치로 이해된다. 여기에 전파력이 강한 델타 변이종의 검출률이 30%대로 급증하면서 머지않아 우세종이 될 것이라는 경고까지 나오고 있다.

거리두기 3단계에서는 오후 10시 이후 유흥시설 5종과 노래연습장, 수영장 등의 운영이 제한되고, 식당이나 카페에선 포장 배달만 허용된다. 2단계에서는 100인이상 모임 행사가 금지된다. 한 숨 돌리려던 자영업자들의 타격이 더욱 심화되고, 시민들의 불편과 피로도도 더욱 커질 것이다. 이번 거리두기 상향은 다음달 8일 까지 적용된다.

정부의 방역 강화가 여건상 불가피했던 만큼 이를 짧은 시일내 끝낼 수 있도록 방역 당국과 도민 모두가 합심해 고비를 넘겨야 할 시점이다. 확산세를 진정시키지 못하면 고통과 불편의 강도는 더욱 세질 것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