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지역 정치권에서 ‘파워맨’ 또는 ‘엘리트’로 통하는 A씨의 ‘일가족 동원 땅투기 의혹’을 구체적으로 입증할 정도의 주민 증언이 나왔다.
전북일보가 제보 받은 주민 증언에 따르면 토지 매도자가 사업자금이 모자라 매수해 달라고 요청해서 억지로 산 것이란 A씨의 해명이 새빨간 거짓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A씨는 지난 수십 개월간 진안 지역사회에 떠도는 투기 의혹을 단호히 부정하고 있다. 그는 자신의 부인 명의로 매입한 진안읍 단양리 홍삼 집적화단지 조성사업 ‘예정부지 내 소위 노른자위 임야’의 매입 사실에 대해서 전북일보에 “나는 살 마음이 없었지만 (직전 소유주가) 사업자금이 모자라니 사달라고 요청해서 어거지(억지)로 산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하지만 A씨의 이런 해명과 완전히 다른 주민 증언이 나왔다.
직전 토지주, 개발 사실 모른 채 매각
문제의 홍삼 집적화단지 안팎의 부동산 거래 내막을 잘 아는 진안읍 주민 B씨는 최근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직전 토지 소유주는 처음엔 팔 마음이 전혀 없었다”며 “A씨가 땅을 사려고 덤빈 것이 맞다”고 말했다.
B씨에 따르면 ‘노른자위 임야’ 거래 논의가 시작될 무렵 직전 토지 소유주는 “팔아 봤자 세금 내고 어쩌고 하면 남는 게 없다”는 이유로 땅을 팔 의사가 없는 상태였다.
A씨가 부인 명의로 노른자위 임야를 사들이기 직전의 토지 소유주 C씨는 ‘땅을 팔아야 할 특별한 이유가 없던’ 사람이라는 게 주민 B씨의 설명이다.
직전 C씨는 고향 진안을 떠난 지 오래된 인물로, 수도권에서 벌인 사업이 성공해 ‘한 마디로 돈이 궁하지 않은 사람’이라고도 했다.
이 때문에 A씨 측이 거래 성사를 위해 동원한 지인들의 집요한 부추김에 못 이겨 C씨가 가만 놔둬도 될 임야를 A씨에게 얼떨결에 팔아버렸던 것으로 해석했다.
B씨는 “땅 주인 C씨는 해당 임야가 대규모 공공사업의 예정부지라는 사실을 전혀 모르는 상태였다”고 했다. 자신의 임야가 공공사업 예정부지에 편입된 토지란 사실을 알았다면, 사업의 노른자위에 해당하는 땅을 팔았을 리 만무하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C씨는 임야를 팔지 않았더라면 자신이 누릴 수 있던 진안군 공공사업의 개발 관련 이익을 A씨에게 고스란히 뺏긴 셈이다.
B씨의 이 같은 증언은 “토지주가 사업자금이 모자라 땅을 사달라고 했고 그래서 억지로 샀다”는 A씨의 해명과 정면으로 배치돼 주목된다.
세금으로 식재된 헛개나무 보상도 노려
또, 해당 임야를 매수한 이후 A씨가 보인 토지 관리 행태도 계획적인 부동산 투기 의혹을 가중시키고 있다.
진안군보에 따르면 이곳에는 헛개나무가 8000주 식재된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7년 군청이 경제림 조림사업을 벌이면서 군비로 식재해 준 1만 2000그루 중 보존된 숫자인 것.
주민 B씨는 “직전 소유주 C씨는 임야 매도 당시 헛개나무 가치를 제대로 알지 못해 헛개나무 가격을 헐값으로 쳐서 토지를 판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A씨는 임야 매입 후 곧바로 인부들을 투입해 입목인 헛개나무를 집중 관리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헛개나무는 현재 진안군과 A씨 가족 간 보상가격 줄다리기에서 주된 요인이 되고 있다.
실제로 진안군청이 감정평가사들에게 의뢰해 헛개나무 등 지장물에 내린 제1차 평가액은 아주 미미한 수준이었으나, 제2차 평가액은 수억 원으로 증액 제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A씨는 “액수가 적다”는 태도로 협의를 거부하는 상태다. 이를 두고 A씨가 애초부터 이 헛개나무의 보상가격을 염두에 두고 토지를 매입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홍삼단지 안팎 토지 은행 대출로 대거 매입
A씨의 가족 동원 부동산 투기 의혹은 홍삼집적화단지 사업부지에 인접한 D씨, E씨 등 기타 여러 사람의 땅까지 대거 매입한 사실에서도 두드러진다는 지적이다.
또, 특별한 사유가 불분명함에도 은행 빚까지 내서 토지를 대거 매입한 사실도 투기의혹의 정황으로 꼽힌다.
A씨는 부인과 아들 명의로 은행 융자를 받아 매입 대금의 대부분을 감당했다. A씨가 가족을 동원해 매입한 것으로, 본보가 확인한 토지 매입 대금만 3억 8000만 원가량이다.
이 정도 규모의 매입 대금은 진안지역 주민의 생활수준으로는 상당한 거액에 해당한다는 게 중론이다.
이자 지출 부담을 안고 거액을 들여 토지를 매입한 것은 “부동산 투기 목적이 아니라면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는 지적이 쏟아지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