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안군 하서면의 백련초등학교(교장 김중숙)가 통폐합을 앞두고 있음에도 신설학교 못지않은 열정으로 생태학습공간을 직접 기획·제작·운영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백련초는 학생 수가 16명뿐인 농어촌의 작은 학교다.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학생 수가 해마다 감소하며 부득이하게 통폐합이 결정됐다.
하지만 이곳 교사들의 열정은 여전히 뜨겁다. ‘내일 지구의 종말이 오더라도 오늘 한 그루의 나무를 심겠다’는 각오다.
고동호 교사를 비롯한 교직원들은 남다른 열정으로 교정에 병아리와 닭을 위한 닭장을 직접 설계·제작해 과학·실과·미술·국어 등 여러 교과를 연계한 교육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닭이 낳은 알을 판매해 수익금을 기부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학년군별 닭장을 짓고 교육 중인데, 닭장 제작 전 구상에서부터 목재 페인트칠 등 제작, 닭에게 모이주기 등 사육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에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하고 있다.
백련초의 특별한 공간은 또 있다. 바로 하우스 온실이다.
지난해 식물 온실에 이어 올해는 학교폭력예방 어울림 교육의 일환으로 창고로 사용됐던 비닐하우스가 다육이 온실로 변신해 아이들의 생태놀이터가 됐다.
올해 3월 부임한 김중숙 교장은 “첫 출근일 가장 놀라웠던 것은 알에서 갓 깨어난 병아리를 보는 것이었다”면서 “병아리들이 계속 깨어나 적은 학생 수의 학교를 채워주고 있는 느낌이었고, 이토록 신비롭고 아름다운 생명의 탄생을 지켜본 아이들이라면 감수성은 물론이고 생명체의 소중함을 저절로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휴일 반납도 마다않고 열정을 쏟고 있는 고동호 교사는 “농어촌 소규모 학교에서는 이런 생생한 체험활동이 많기 때문에 생명존중 교육이나 인성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뤄지고 있다”면서 “신비로운 병아리 탄생 과정을 옆에서 지켜보고 마음으로 느껴본 아이들이라면 누군가를 괴롭히고 상처 주는 행위 따위는 결코 할 수 없을 것”이라고 확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