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이 사과 과수원에서 이달 중순 이후 갈색날개매미충이 확산할 수 있어 철저한 대비를 당부했다.
갈색날개매미충은 가지에 알을 낳고 즙을 빨아 작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해충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010년 8월 충남 공주 예산에서 처음 발생했고 현재는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 확인되고 있다.
갈색날개매미충 어른벌레는 이달 중순부터 알을 낳기 위해 과수원으로 날아들며 특히 올해 자란 1년생 가지에 알을 낳는 습성이 있다.
현재 사과에는 36개 품목의 관련 살충제가 등록돼 있다. 과수원으로 이동하는 개체 수가 많을 때는 사과 품종별로 수확 시기를 고려해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여유를 두고 방제해야 한다.
또한 갈색날개매미충이 알을 낳은 가지는 알이 부화하지 못하도록 겨울철 가지치기를 할 때 잘라줘야 한다.
특히 열매를 맺는데 필요한 가지도 겨울 방제 시기인 3월에 기계유유제를 20배액으로 뿌리거나 붓으로 발라주면 알이 부화하는 것을 95% 이상 억제할 수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사과연구소 이동혁 소장은 “알을 낳은 가지도 가지치기와 겨울철 기계유유제 등으로 충분히 방제할 수 있는 만큼 농가의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하다”며 “가지치기 도구를 수시로 소독하는 것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