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8일 세계 고양이의 날)“공존위해 중성화 필요하지만…” 전주시 예산 ‘태부족’

시, 2018년부터 TNR 사업 추진…매년 1억 원가량 예산 책정
가하학적으로 늘어나는 길고양이…실태조사 필요성 언급돼

전주시 길고양이급식소

마을주민과 길고양이 공존을 위해 시행하는 ‘중성화 후 방사 사업(TNR)’에 대한 전주시의 예산이 태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내 길고양이 개체 수는 기하학 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코로나19 등으로 인한 예산부족으로 관련 부서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

전주시에 따르면 지난 2018년부터 길고양이와의 공존 위한 TNR 사업을 추진 중이다. 최근 3년(2018~2020년)간 중성화한 길고양이는 2498마리에 달한다. 연도별로는 2018년 671마리, 2019년 1005마리, 지난해 822마리다. 올해는 809마리의 중성화 수술이 진행됐다.

TNR 사업은 길고양이와 마을주민의 공존을 위해 지난 2018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중성화 수술 후 기존의 서식터에 다시 방사함으로서 개체 수 조절에 탁월한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8일 세계 고양이의 날을 맞았지만 TNR 사업 예산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주어진 예산에서 중성화 사업을 진행하다보니 예산 소진 시 하반기 TNR사업은 사실상 중단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매년 9000만 원에서 1억 원 정도의 예산이 책정되지만 기하학 적으로 증가하는 길고양이 개체수 조절에는 턱 없이 부족한 상황. 시는 전주에만 길고양이 수만여 마리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을 뿐 정확한 개체 수 파악은 하지 못하고 있다. 일각에서 TNR 사업이전 정확한 개체 수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필요성이 나오는 이유다. 시는 이 같은 실태조사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지만 예산부족으로 손도 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TNR 사업 등 추가 예산 요청에도 번번이 받아들여지지 않으면서 관련부서는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시 관계자는 “매년 주어지는 예산으로는 길고양이 중성화 사업 예산을 감당하기 힘든 실정”이라며 “시의회에 추경예산까지 신청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이후로는 확보가 더욱 어렵다”고 말했다.

이어 “TNR 사업이 더 큰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용역을 통한 길고양이 개체수에 대한 실태조사도 필요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중성화 예산도 부족해 용역은 손도 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고 푸념했다.

한편 시는 TNR사업 외에도 길고양이 급식소 20개소를 설치해 주민간 갈등 완화 및 사람과 동물의 공존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