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무형유산원 전북도 무형문화재 보이지 않는 갈등

전북도문화재 공연장 대관 국가무형문화재에 비해 차별 주장
“국가무형문화재에만 대관 허용하고 우리한테 하진 않는다”
국립무형유산원 “대관 규정 따라 처리…전혀 차별 않는다”
문화계 “유산원이 지역문화재에 관심이 없었던 점이 큰 문제”

국립무형유산원과 전북도무형문화재 사이 보이지 않은 갈등이 있는 모양새다.

전북도무형문화재는 국가무형문화재에 비해 국립무형유산원 공연 허가와 대관에 차별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립무형유산원은 차별 없이 절차에 따라 진행하고 있다고 맞서고 있다. 무형유산원이 그 동안 지역문화예술계와 소통이 부족했던 점이 오해를 불러일으킨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전북도 무형문화재연합회 등에 속한 무형문화재 A씨는 “무형유산원 공연에 지역무형문화재가 전혀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며 “심지어 공연장 대관도 어렵다”고 주장했다.

A씨는 “이전에 공연하고 전시할 공간이 없어서 무형유산원에 대관을 의뢰했는데 ‘국가적인 행사 이외에 다른 행사는 할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국가행사는 1년에 몇 차례 정도 하는 데, 행사가 없을 때 (우리한테) 대여하면 되지 않겠는가”라며 “지역 상생차원에서 다른 지역 무형문화재에게도 대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A씨는 “남원에 있는 국립민속국악원은 국가행사나 지역행사를 가리지 않고 연다”며 “공연장 대관 역시 마찬가지”라고 설명했다.

실제 국립민속국악원은 남원농악이나 무용협회, 남원용성중학교 국악 정기연주회 등을 연다. 국악원 관계자는 이에 대해 “국악과 관련한 공연이라면 국가 지역 상관없이 대관이 가능하다”고 답변했다.

무형문화재 B씨는 “지역 무형문화재가 그 곳(무형유산원)에서 공연을 하면 위상이 낮아진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지역 문화재나 국가 문화재나 대통령령에 따라 지정받기 때문에 큰 차이가 없다”면서 불만을 터뜨렸다.

국립무형유산원에서는 국가 무형문화재나 지방 무형문화재를 차별하고 있지 않다고 반박했다.

무형유산원 관계자는 “‘국립무형유산원 대관 규정’에 의거해 대관업무를 진행한다”며 “국가나 지방문화재 모두에게 대관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실제 ‘국립무형유산원 대관규정’을 보면, △무형문화유산 보존·전승·진흥 등에 기여할 수 있는 공연 등 문화예술행사 △전통문화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공연 △국제무형문화교류에 기여할 수 있는 국내·외 학술대회 △기타 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공연 또는 행사를 대관요건으로 제시한다. 국가 무형문화재와 지역 무형문화재를 구분하는 기준은 없다.

유산원 관계자는 이어 “대관료 면제 규정도 동일하게 적용된다”며 “국가나 지역 상관없이 문화재 이수자 기준만 확인되면 면제가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지난해와 올해는 코로나 19로 외부에 공연장 대관을 진행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러 상황이 발생한 원인으로 소통부족이 꼽힌다. 이 문제는 국립무형유산원이 지난 2014년 문을 연 이후부터 줄곧 지역문화예술계에서 제기돼왔다.

전북지역 한 대학의 예술관련 학과에 몸담고 있는 한 교수는 “무형유산원이 전북에 유치되면서 지역 문화재가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가 있었다”며“그런 기대치에 못 미치다보니 불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이어 “가장 큰 문제는 무형유산원이 지역 문화재에 전혀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관련 정책에 대한 고민도 없다”고 말했다.

지역 문화계 인사는 “국악, 문화재 등 분야를 막론하고 많은 지적이 나온다”며“공통적으로 무형유산원이 ‘전북에 있는 외딴 섬 같다’는 얘기들을 많이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