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 낭산면 폐석산에 뭍힌 불법매립폐기물의 조속 처리를 위한 해결 대안으로 제시된 광역매립장 조성이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첫발조차 떼지 못했다.
약 143만톤에 달하는 폐기물의 전량 이적처리에 30년이라는 시간과 4000억원의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전액 국비로 설치·운영되는 공공폐자원관리시설 공모사업을 통해 최단기간 내 이적처리를 하겠다는 게 익산시의 판단인데, 주민들은 환경문제를 우려하며 극렬히 반대하고 나서면서 지난 13일 낭산면 행정복지센터에서 예정됐던 주민설명회는 시작조차 하지 못하고 무산됐다.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은 민간 처리시설 부족으로 인한 폐기물 처리·관리 문제 해소를 위해 환경부 및 한국환경공단이 설치·운영하는 시설이다.
환경부는 지난 7월 15일부터 오는 9월 13일까지 60일간에 걸쳐 공공폐자원관리시설 입지 후보지를 공모 중이며, 시설 종류는 매립시설(200만㎡)·소각시설(200톤/일)·재활용시설·부대시설 등이고 설계·시공·운영·사후관리 등은 전액 국비로 이뤄진다.
아울러 현재 부송동 신재생자원센터처럼 300억원(시설공사비 약 3000억원의 10%)으로 수영장, 헬스장, 축구장 등 입지여건과 주민의견 등을 고려해 주민편익시설이 조성되며, 매년 결산시 운영이익금의 최대 10%를 기금수혜지역에 세대원 수에 따라 지급하게 된다.
시는 불법매립 폐기물의 최단기간 내 이적처리를 위해 이 공모사업에 도전을 결정했다.
전국 매립장 부족 등으로 인해 올해 7월까지 이적처리된 폐기물은 전체 143만톤의 3.6%에 불과한 5만2000톤으로, 이대로 가면 전량 이적처리까지 약 30년의 기간과 약 4000억원의 비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폐기물시설이 들어오는 것에 대한 주민들의 걱정을 너무나도 잘 알고 있지만, 낭산면 주민들을 위해 폐기물 전량 이적처리가 무엇보다 시급한 상황이고 현재까지 가장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대안으로 검토된 것이 공공폐자원관리시설”이라며 “관리시설이 조성되면 첨단 환경과학기술과 24시간 관리체계(TMS/자동측정시스템)를 도입해 주민이 안심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투명하게 운영하고 주민 감시요원이 상시 감시하도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지난 13일 낭산면 행정복지센터에서 20여분 이상 공무원들과 대치했던 주민들은 “설명회든 대화든 길게 얘기할 것 없다. 낭산 땅을 전부 사서 주민들 이주시키고 하든지, 오늘 설명회 말고 환경부 공모기간 끝나고 나서 나중에 와서 얘길 하든지 해라”며 공모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