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이 자생식물인 ‘기린초’ 잎이 치매 증상의 하나인 인지기능 장애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음을 동물실험을 통해 확인했다고 19일 밝혔다.
기린초는 바위 위나 냇가에서 자라는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농진청은 국내에서 자생하는 식물자원 추출물 180여 개 중 기린초 잎을 선발하고, 경희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동물실험을 진행했다.
먼저 시험관에서의 효소 활성실험에서는 기린초 잎 추출물이 치매 치료제인 ‘아세틸콜린 에스테라제(AChE) 저해제’와 비슷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인지기능 장애를 유발한 동물(흰쥐)을 대상으로 기린초 잎 추출물을 각각 저농도(100mg/kg)와 고농도(300mg/kg)로 2주간 투여한 뒤 동물행동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기린초 잎 추출물 투여 집단은 기린초 잎을 처리하지 않고 인지기능 장애만을 유발한 대조 집단보다 각각 24.0%, 25.9% 빨리 대피 장소(도피대가 있던 위치)에 도착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특허 등록을 마쳤으며 국내 전문 학술지에 실렸다. 특히 지난해 65세 이상 노인 중 치매 환자 수가 84만 명에 이르는 상황에서 치매 주요 증상인 인지기능 장애를 예방하거나 완화하는 데 기대를 모으고 있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특용작물이용과 김금숙 과장은 “기린초의 건강 기능성이 확인됐으므로 안정적 공급을 위한 생산체계도 개발해 농산업과 기능성 소재 산업이 연계·발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