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또다시 2000명대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가운데 전북에서도 확산세가 심상치 않아 방역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특히 전북 확진자 감염경로가 개인 간 전파를 통한 사례가 늘고 있어 이동과 만남 자제가 절실하다는 방역당국의 의견이다.
19일 전북도 방역당국에 따르면 지난 18일 오전부터 이날 오전까지 전북에서 39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누적 확진자가 3214명으로 늘었다.
문제는 감염 확진세가 심상치 않다는 것이다. 지난 22일부터 현재까지 전북은 계속해서 두 자릿수의 확진자가 나오고 있으며 지난 18일에는 39명의 확진자가 발생하기도 했다.
이는 앞서 올해 최다 규모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달 25일 42명의 확진자 발생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높은 규모다.
19일 오전 10시 30분 기준으로는 전북 신규 확진자가 13명이었지만 이후 추가 8명 이상 확진자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이 같은 속도 속에서는 19일 누적 확진자가 올해 최다 확진자 기록을 경신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심각한 확진세는 휴가철을 맞아 이동과 만남이 늘어나면서 개인 감염이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신규 확진된 대부분의 확진자가 식당과 휴가지, 근로 현장 등에서 감염된 것으로 조사됐다.
또 확진자 1명이 주변에 바이러스를 전파하는지 알 수 있는 감염재생산지수도 일주일째 1 미만인 상황에서 두 자릿수의 확진자가 계속다는 것은 감염경로가 집단감염보다는 선행확진자와의 감염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 밖에도 전파력이 높은 델타 변이바이러스가 유행 요인에 작용하는 것도 확진자 감소 저해 요인으로 지목된다.
앞서 지난 6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존 바이러스의 경우 확진자 1명이 2명을 감염시키는 반면 델타의 경우 5명 이상의 확진자를 발생시켜 2배 이상의 감염력을 보인다고 했다.
결국 확산이 계속된다면 전북 내 확진자 치료 병상마저도 부족할 수 있다는 진단이다. 현재 도내에는 533병상 중 283병상이 사용되고 있으며 53.1%의 가용률을 보이고 있다.
전북도 방역당국 관계자는 “현재 확진자가 전북 외에도 전국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에서 도내 두 번째 생활치료센터를 준비하고 있다”며 “감염병은 개인만의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자신과 이웃을 위해 이동과 만남에 더욱 신중을 기여해주시는 등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대응해주시길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