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완주군 이서면 갈산리에 사회적 거리두기가 4단계로 격상되면서 전북지역 소상공인이 “실질적 지원대책을 수립하라”고 전북도에 촉구했다.
전북 소상공인연합회는 26일 전북도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거리두기 4단계 격상에 따른 분노의 목소리를 내뱉었다. 방역당국이 집단 감염의 온상지인 대형마트, 백화점, 교회 등을 방치해 실제 피해는 소상공인들이 받는다는 것이다.
소상공인연합회는 “교회는 예배제한이 있을 때도 협조 없이 몇 백명씩 예배를 보아도 방역당국은 사실상 방치해 놨다”면서 “백화점, 마트 등 대규모 시설에서 발생되는 확진자 수로 인해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되고 실제 피해는 소상공인들이 모두 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거리두기에 포함된 9시 영업제한은 받아들일 수 없다”면서 “코로나19가 저녁 6시가 되면 활동성이 두배가 되는지, 2명이 만나면 코로나 감염이 안 되고 4명이 만나면 걸리는 것인지, 소상공인 운영가게는 병균 덩어리로 취급할 만큼 혐오시설인지 전북도에 묻고 싶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경제적·사회적 약자인 소상공인들은 폐업과 휴업의 고사 직전까지 내몰렸으나 묵묵히 감내하고 있다”며 “방역수칙과 거리두기를 지키는 것 말고는 코로나19 확산을 막을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거리두기 격상과 연장은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에게 실질적인 보상과 대책이 없는 강요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제 소상공인들이 기댈 것은 재난지원금과 손실보상법 밖에 없다”면서 △소상공인 사업장 공공요금 지원 △임대료 지원정책 △대출금 이자 지원 △보증 수수료 지원 정책 △저신용등급자를 위한 저금리 대출 등을 도에 요구했다.
또 제주도가 코로나19 방역대책 강화로 집합 금지 업소에 제주도형 5차 긴급생활지원금 추경 편성을 예로 들며 “전북도도 소상공인 지원금을 편성해달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