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 수의계약 전북업체 실적 극과 극

3년간 지역업체 수의계약 실적 33.5%…일부 기관 한 자릿수
이전기관 지역업체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 육성해야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의 지역업체 수의계약 실적이 극과 극으로 나뉘고 있다. 일부 기관은 3년간 지역업체 수의계약 평균 실적이 한 자릿수에 그쳐 지역상생을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여기에 이전기관이 지역업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30일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에 정보공개 청구한 자료에 따르면 12개 이전기관의 3년간 지역업체 수의계약률(금액 대비)은 33.5%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실적을 보인 곳은 지방자치인재개발원으로 2019년(81%), 2020년(72%), 올해 상반기(63%)로 평균 72%를 기록했다. 이어 한국농수산대학 65.2%, 농촌진흥청 54.9%가 뒤를 이었다.

문제는 이 외 기관이다. 한국국토정보공사는 2019년 54.2%를 기록했지만 이듬해 29.1%로 크게 하락했고, 올해 상반기에는 31.8%에 머물렀다. 공사는 홍보 리플릿과 복사용지 구매 등 지역업체와 계약이 가능한 건도 타 지역업체와 계약을 맺었다.

한국전기안전공사의 경우 2019년(13%), 2020년(22%), 올해 상반기(25%)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여전히 전체 평균에도 못 미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과 한국식품연구원,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지역업체 수의계약 실적이 한 자릿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연금공단은 2019년(10.1%), 2020년(6.3%), 올해 상반기(6.3%)로 3년간 평균 7.5%로 집계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은 평균 7.4%를 기록했는데 대부분 수의계약은 연구 용역으로 다른 지역 업체나 기관이 독식하고 있다.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은 2019년(3.3%), 2020년(4.5%), 올해 상반기(2.0%)로 단 한 번도 한 자릿수를 넘지 못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대부분 출판 관련 계약으로 타 지역업체와 적게는 수천만 원, 많게는 수억 원의 계약을 맺었다.

최영심 전북도의원은 “지역업체 수의계약률이 적어도 50%를 넘어야 지역상생을 실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면서 “전북도는 방관할 게 아니라 이전기관이 지역업체를 활용할 수 있도록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