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전주권광역폐기물처리시설 주민지원협의체가 지난달 13일부터 폐기물 반입을 통제하면서 전주지역 쓰레기 대란이 20일 넘게 계속되자 완주와 김제, 임실 등 해당 광역시설을 이용하는 지자체들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전주시의회와 주민협의체 갈등으로 쓰레기 반입이 완전 통제된 전주시는 물론, 공동으로 이용하는 지자체인 완주군 등도 매일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에 곤혹을 치르고, 자칫 불똥이 튀지 않을까 노심초사하고 있다.
2일 완주군에 따르면 ‘전주 쓰레기 대란’에도 불구, 아직 완주지역 생활쓰레기는 비교적 무리없이 처리되고 있다.
전주시내의 경우 가로변 등에 소각용 쓰레기 등이 산더미처럼 쌓여가는 반면, 완주군의 경우 봉동읍 등 대부분 지역에서 큰 문제는 나타나지 않고 있는 것.
이와 관련해 완주군 관계자는 “전주권 광역폐기물처리시설은 완주군을 비롯해 김제, 임실도 함께 이용하고 있다”며 “완주군은 ‘전주 쓰레기 대란’ 초기부터 긴밀하게 대응, 쓰레기 일부는 계속 반입하고 있고, 미처리분은 읍·면 쓰레기 적환장에 임시 적재했다가 상황을 봐가면서 처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완주군 지역사회는 이번 전주 쓰레기 대란이 하루속이 원만히 해결돼야 한다는 입장인데, 전주와 김제, 완주, 임실 등 4곳이 함께 사용하는 광역시설 문제가 장기화할 경우 쓰레기를 자체 처리할 대안이 없는 상황이고, 자칫 부정적 영향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완주군의 하루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2020년 기준으로 소각용은 52톤, 매립용은 2.8톤이며, 이들 쓰레기는 모두 전주권 광역처리시설을 통해 소각 및 매립처리된다. 음식물쓰레기의 경우 민간에 위탁 처리된다.
최근 완주군은 쓰레기 소각 및 매립 문제가 안팎으로 불거지는 상황을 적극 반영, 자체 처리시설 확보를 위한 공론화위원회를 가동하고 있다.
한편, 전주권 광역폐기물처리시설 주민협의체의 폐기물 반입 제동은 지난 2016년, 2017년, 2019년에 이어 이번이 네 번째여서 합리적 대책 마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