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방역 체계를 현재의 규제중심형 방역에서 국민참여형 방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지난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실, 국회 국제보건의료포럼, 코로나극복 국민참여방역운동본부와 함께 ‘지속 가능한 K방역 2.0 준비를 위한 국회 간담회’를 열었다.
이 자리에서 전문가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를 강화하는 현행 방역 체계가 코로나 4차 대유행 국면에서는 크게 효과를 거두지 못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새로운 방역 체계로 ‘위드 코로나’(코로나19와의 공존)를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오주환 서울대 의대 교수는 “코로나19 4차 대유행이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도 불구하고 좀처럼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현재 방역 체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라고 주장했다.
오 교수에 따르면 사회적 거리두기의 감염전파 감소 효과는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기에 효과가 있었다. 실제 1차 대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시작된 지난해 3월께 쇼핑센터, 놀이시설, 소점포 등을 찾는 이동량이 이전에 비해 33%까지 줄었다. 2차 대유행 시기인 지난해 9월께에도 이동량이 29.7%까지 떨어졌다.
그러나 3차, 4차 대유행 시기에는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감염전파 감소 효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차 대유행 시기인 올해 7월께 이동량은 0.57% 감소하는 데 그쳤다.
오 교수는 방역에 필요한 인력 확충과 확진자 디지털 추적검사 시스템 활용을 강조하면서 ‘위드 코로나’를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규제중심형 방역에서 국민참여형 방역으로 전환을 선제적으로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송하진 시도지사협의회장은 “이제 코로나19 방역은 지속가능한 K-방역으로의 전환을 고려할 때”라며 “현재 추적·검사·역학조사 등으로 이뤄진 K-방역 시스템의 전환에 공감하며, 앞으로 어떠한 시스템으로 전환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준비를 이어가자”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