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시, “가야고분군 ‘기문’ 명칭 당장 삭제는 어려워”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 과정과 ‘기문’ 명칭 사용 관련 입장 표명
6일 입장문 통해 "시민단체 요구사항인 ’기문’용어 삭제는 힘들어"
세계유산등재 추진단에 검토 의뢰,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에 심의 요청할 것 예상

‘기문’ 가야 표기와 관련해 지역사회에서 논란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남원시가 입장을 표명했다.

결론적으로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기문’ 용어 삭제는 당장은 힘들 것으로 보인다.

6일 시는 입장문을 통해 “세계유산등재 과정에는 전문성 요구사항이 많아 등재와 관련한 일들은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 추진단이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고 지자체는 해당 유산의 보호, 정비, 관리를 추진하고 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등재신청서의 평가·심사·검증 그리고 세계유산등재대상 선정여부는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원회에서 결정한다”며 “기문은 우리시가 요청해서 사용하는 명칭이 아니며 고고학, 문헌사, 가야사 등 역사학계에서 사용하는 명칭이다”고 선을 긋었다.

이어 “시민단체의 요구사항은 등재신청서를 작성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 추진단에 검토 의뢰한 상태이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추진단에서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원회에 심의를 요청할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등재신청서 작성 경위 설명과 상호 이해를 돕기 위해 가까운 시일 내에 추잔단 연구자들과 시민단체 간의 대화의 기회를 가질 예정이며, 역사학자와 시민이 직접 소통하고 함께 토론 할 수 있는 공론의 장을 마련 중이다”고 강조했다.

‘기문’ 명칭 사용과 관련해서는 “현재 유네스코에서는 제출된 신청서를 전문가 검토하는 단계로 현 상황에서 신청서 내용을 수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면서 “다만 등재 이후 기문을 포함한 유산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를 통해 새로이 정립된 학설은 문화재청 세계유산분과위원회 심의를 거쳐 변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이 세계인의 유산이 되기 위해 시민 여러분들의 지지와 동참을 부탁드린다”며 “문화유산과 지역주민이 상생하는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해 조화롭게 공존하는 역사·문화도시로 성장하도록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를 포함한 전국 7개 가야고분군 세계유산등재 대상지는 향후 현지실사와 패널회의를 거쳐 내년 6월에 등재여부가 결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