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락하는 조선과 자동차산업을 이을 전라북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새만금에 항공정비산업 클러스터 조성이 필요하다. 국제공항이 들어서는 새만금은 항공기 시험 비행이 가능한 광활한 부지와 함께 전북지역에서 항공정비관련 전문인력이 양성되고 있고 탄소복합재 등 항공부품 소재관련 산업이 성장하고 있는 만큼 항공유지보수(MRO·maintenance repair overhaul)산업의 최적지로 꼽힌다.
국토교통부는 최근 항공정비 산업을 체계적으로 육성하기 위해 항공 MRO 경쟁력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2030년까지 국내 MRO 규모를 현재 7000억 원에서 5조 원으로 확대하고 이를 통해 2만3000여 명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다. 앞서 전북도는 지난 2018년 탄소복합재 항공부품 MRO사업 관련, 국토교통부로부터 항공기 윙렛 복합재 수리공정 기술개발 사업에 선정됐으나 사업 부지를 확정하지 못한 채 고심 중이다.
새만금은 앞으로 항공기 윙렛 복합재 등의 수요 증가에 따른 시설 확장이 얼마든지 가능한 데다 항공기 시험비행을 위한 부지와 주변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다. 현재 군사·민간 공항으로 이용중인 군산공항과 오는 2028년 개항 예정인 새만금 국제공항이 있다. 여기에 산업 수요가 급증하는 중국시장이 지리적으로 가깝고 군장대 항공정비학과와 고창 강호항공고교와 연계한 항공정비 전문인력 양성에도 가능하다.
향후 성장잠재력이 높은 항공정비 분야는 2026년이면 세계시장 규모가 100조 원대를 훌쩍 넘을 것으로 예상되고 장기간 사용하는 항공기 특성상 정비 수요가 항공기 가격의 3~4배에 달하면서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조선소 가동 중단과 자동차 공장 폐쇄 등으로 제조업의 위기를 맞고 있는 전라북도가 항공정비산업을 통해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해 나가야 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014년부터 차세대 산업으로 항공정비업과 항공레저산업 육성 등을 추진해왔고 전라북도도 새만금에 항공정비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계획했던 만큼 이를 실행에 옮겨야 한다. 이를 위해선 새만금 농생명용지를 항공정비산업단지로 변경하고 항공MRO 산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