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시도지사 협의회와 정치권 나서야”

청와대 고심 줄이고 결단 앞당기려면 지역민 의사 반영한 협의회 차원 행동 절실
남은 건 대통령 결단과 지자체, 정치권 차원의 적극성
전북도 담당 부서 선제적인 움직임도 절실 타 지역에 비해 적극성 아쉽다는 평가도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위한 청와대 차원의 결단을 앞당기기 위한 시도지사협의회 차원의 행동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여당 지도부에서도 공공기관 추가이전을 핵심공약으로 내건 만큼 정치권이 힘을 합쳐 문재인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기조를 관철시켜야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9일 정치권에 따르면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정부에서 민감한 현안으로 분류하고 차기 정부에 공을 넘기려 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균형발전 국가를 선언한 문재인 대통령 임기 내 이 문제가 처리되지 않을 경우 비수도권에서의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대통령직속 국가균형발전위원회도 이러한 내용을 토대로 공공기관 지방이전 방안 등을 담은 로드맵을 청와대에 보고했다. 이 방안에는 지방이전 대상기관과 이전예상지역 등도 분류돼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사열 위원장은 이 로드맵은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 발표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이 방안이 확정되면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은 현 정부에서 방침이 정해지고, 실제 이전 작업은 차기 정부에서 수립이 가능해진다.

국가균형발전위원장을 역임했던 민주당 송재호(제주갑) 의원 역시 지난 7일 “당정청 간에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라면서 문재인 정부 임기 내 대책이 있을 것을 예고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도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대통령께 보고 드리고 확실한 로드맵을 마련 하겠다”고 약속했다. 다만 이전 시기에 대해선 “대선 주자들도 나름대로 대안을 준비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 한다”고 했다.

전북정치권에선 이 문제에 대해 민주당 김윤덕 의원이 적극 나서고 있다. 그는 자신의 사무실에서 김사열 위원장을 만나 제2차 지방이전 로드맵의 방향성을 집중적으로 묻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에 대해 아직은 보안이 필요한 상황이라면서 말을 아꼈다.

다른 지역도 정치권과 광역지자체도 치열한 탐색전에 돌입했다. 타 지역 정책기획부서 책임자들은 매일 국회와 청와대 인근을 방문하면서 정보를 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비수도권 정치권에선 송하진 도지사가 시도지사협의회장을 연임한 만큼 그를 중심으로 공공기관 추가이전을 현실화할 대안이 제시돼야한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또 전북도 차원의 선제적인 움직임도 절실하게 요구된다. 현재 전북은 부산, 대전충남, 강원 등에 비해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고, 적극성도 아쉽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