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서훈국민연대’ 출범

10일 국회의사당 앞 기자회견장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서둘러서 서훈하라”

속보 = 전국에 있는 동학농민혁 단체 50여곳이 모여서 결성한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서훈국민연대’(이하 서훈국민연대)가 지난 10일 오전 국회의사당 앞에서 출범식을 열었다.(관련기사 20일 13면)

서훈국민연대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출범선언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선언문을 통해 “전봉준 등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에 대한 독립유공자 서훈의 법률적·학문적 정당성과 타당성이 이미 확보됐다”며 “국가보훈처는 독립유공자 서훈 제1공적심사위원회에 ‘동학혁명분과’를 만들어 2차 항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들을 즉각 독립유공자로 서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항일 동학농민군 토벌대 출신들에게 독립유공자 서훈을 준 1분과(의병분과)의 의병 전공 심사위원들이 2차 항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 서훈에 관여하는 것은 전형적인 이해충돌”이라며 “심사위원들을 새로 선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의 모습

이날 기자회견에 참석한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사학과 명예교수, 근현대사 전공)은 “동학농민혁명의 중심인물이자 공주 우금치전투를 진두지휘한 전봉준 장군이 서훈을 받지 못하는 현실이 이해가 되질 않는다”며 “그런데 이들을 진압한 농민군 토벌대 출신들이 서훈을 받았다고 하는 데, 이런 상황도 상식에 어긋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윤 전 총장은 이어 “지난 1994년 동학농민혁명 백주년 기념식 이후 2차 동학농민혁명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척됐다”며 “덕분에 2차 동학농민혁명이 일본에 대한 반제·반침략 투쟁이라는 사실이 명확히 밝혀졌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앞으로 국가보훈처의 공적심사위원회에서 ‘동학혁명분과’혹은‘특별위원회’를 만들어야 한다”며 “이후 2차 동학농민혁명에서 순국하신 분들을 대상으로 독립유공자로 서훈해야 한다”고 호소했다.

허채봉 부산인권포럼 생명평화위원장은 서해성 작가(전 서울시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 총감독)가 지난 9일 쓴‘21세기 우금티 고개를 넘자’는 글을 대신 낭독했다. 서 작가는 이날 코로나 백신 접종 후유증으로 참석하지 못했다.

허 위원장은 글 내용을 바탕으로 “전봉준이 북상해서 우금티로 간 이유는 공주를 넘어서 서울로 가고자 했기 때문”이라며 “궁궐을 침탈하고 왕을 겁박하고 강토와 백성을 유린하고 있는 일본군과 맞서 싸우려는 의도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싸움에서 살아남은 자들이 주도한 게 3.1운동이며, 민족대표 33인 가운데 9명이 2차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했다”며 “두 혁명 모두 항일투쟁”이라고 덧붙였다.

또 “120여 년 전에는 공주 우금티를 넘지 못하고, 오늘은 국가보훈처 문턱을 넘지 못하는 게 동학농민군의 운명이라면 대체 누가 무엇 때문에 나라를 위해 싸울 것인가”라며 “뜻 있는 자는 뜻으로 뭉치고, 법하는 자는 법을 고치고, 제도를 만지는 자는 두 눈 뜨고 일을 풀어내 이 욕스러움을 이제는 끝낼 차례”라고 강조했다.

허 위원장은 “국가보훈처는 더 이상 21세기 우금티 고개 노릇을 그만 두어야 한다”고 질타했다.

박용규 서훈국민연대 상임대표의 모습

박용규 서훈국민연대 상임대표는 “2차 동학농민혁명 참여자의 명예를 회복하라는 법률이 지난 2004년에 국회에서 통과되었는데 역사의 지체가 너무 심하다”며 “국가보훈처는 동학농민명예회복법의 내용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대표는 이어 “국가보훈처는 빨리 견단해 동학농민명예회복법과 독립유공자법에 의거, 2차 항일 동학농민혁명 참여자를 독립유공자로 서훈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