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가 지나면 전기, 도시가스 요금 인상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되면서 서민 부담이 가중될 우려가 제기된다.
16일 산업통상자원부 등에 따르면 23일께 4분기(10~12월) 전기 요금 인상 여부가 결정된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연료비 연동제를 도입한 이후 올 2분기와 3분기 전기 요금을 연속 동결했으나 추석 명절이 지나 4분기에는 요금 인상에 무게가 쏠린다.
한전은 올 2분기 7000억원이 넘는 영업 손실로 2019년 4분기 이후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연료비 인상 등을 감안하면 다음 전기 요금에 반영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도시가스도 인상 요인 누적으로 올 겨울 요금 억제가 더이상 불가능할 것이란 관측이 나오고 있다.
서민 연료인 자동차용 부탄 가스(LPG)는 이날 현재 리터(ℓ)당 952.3원으로 지난해(790.79원) 대비 가격이 올라 소비자 부담이 가중됐다.
최근 소비자 물가 상승률은 5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해 자영업자는 물론 서민도 전기 요금 등 인상 여부에 큰 관심과 우려를 나타내고 있다.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8월 소비자 물가 동향에서는 석유류 가격 상승 영향의 특징을 나타내며 지난달 대비 소비자 물가가 2.6% 상승했다.
최근 물가 여건과 치솟는 밥상 물가 등 민생 영향을 감안하면 서민 경제 충격을 완화시킬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주시 호성동에 거주하는 전업주부 한경자(61) 씨는 “물가가 떨어질 줄 모르고 계속 오르는 마당에 고정수입은 오르지 않는다”며 “가스, 전기요금이 오르면 가계 지출이 늘어날텐데 걱정이다”고 말했다.
전주시 팔복동에서 음식점을 운영 중인 김명숙(58) 씨는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단체 손님을 못 받는 판국에 장사를 할수록 적자가 나고 있다”며 “정부가 요금 올리기에 앞서 할인 지원 등 자영업자의 부담을 덜어줄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