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에도 전북에서 수십 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 또 전국적으로 3000명의 확진자가 발생해 최다 확진자가 경신되기도 했다. 추석 연휴 기간 방역을 완화했던 정부의 정책이 섣부른 판단이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다.
전북도 방역당국은 지난 24일부터 26일 오전까지 전북에서 133명의 확진자가 발생했다고 밝혔다.
일자별로는 24일 67명, 25일 47명, 26일은 오전까지 20명이다.
지역별로는 전주 67명, 군산 8명, 익산 12명, 정읍 3명, 남원 8명, 김제 9명, 완주 5명, 진안 1명, 무주 7명, 장수 1명, 순창 3명, 부안 9명, 기타 1명 등으로 집계됐다.
주말 동안 도내 14개 시·군 중 임실과 고창을 제외한 12개 지역에서 감염자가 발생해 지역 유행이 심각한 수준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전북 확진자 대부분이 선행 확진자와의 접촉으로 감염된 것으로 파악되면서 주말이면 검사자가 줄어드는 주말효과도 사실상 없었다.
특히 전국적으로도 코로나19 확진자가 폭발적으로 급증하면서 지난 25일 3272명이라는 최다 확진자를 경신하기도 했다.
이같은 확진자 급증 원인에 대해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전파력이 높은 델타변이가 우세종으로 변화한 점과 추석 전후 인구 이동량이 크게 증가해 사람 간 접촉이 늘어난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앞서 연일 전국적으로 수천 명대의 확진자가 계속되고 또 델타변이 위험 역시 예견된 상황에서 정부의 추석 기간 가족모임 8명(접종 완료자 포함) 등 완화책이 필요했는지는 현재 상황을 비춰봤을 때 의문이 제기된다.
더욱이 추석 전후 인구 이동량이 4차 유행 시작 시기인 6월 말~7월 초 수준까지 증가했다는 방대본의 분석에 향후 코로나19 확산세가 더욱 거세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방대본 역시 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사적 모임 허용 등의 이유로 전파가 늘어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금주 중 4000명대 확진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 본부장은 지난 25일 브리핑에서 “현재 감염재생산지수가 1.03이고 조금 더 증가했을 것으로 보는데 현재의 추세라고 하면 3000명대 이상의 확진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다”며 “향후 1~2주간 확진자가 크게 증가할 수 있고 10월 초 연휴 기간에 이동량이 또다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최소 2주 동안은 사적 모임은 취소하거나 연기하고, 특히 마스크 착용이 어려운 다중이용시설 이용은 자제해 주실 것을 요청드린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