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한 현수막 나쁜 현수막

강인석 논설위원

삽화 = 정윤성 기자

“나 아직 100살 안먹었당께! 다들 무탈하시어!”

고창군 심원면 최고령자인 궁산마을 변현순 할머니(96세)의 사진과 함께 현수막에 실린 글이다. 심원면사무소 앞 현수막 게시대에는 심원면의 자랑거리를 알리는 4장의 착한 현수막이 걸려있다. 매달 새로운 내용의 현수막이 면민들과 심원면을 찾는 관광객들을 맞는다.

현수막 게시대의 이름은 ‘심원다움’이다. 10월에는 실뱀장어 잡이 장인 김삼만 씨(두어마을), 28세 때부터 47년째 이장직을 맡고 있는 박동성 씨(염전마을), 15년간 공부해 보건학 박사학위를 딴 이수범 씨(진주마을), 지난 7월 태어난 최연소 심원면민 김단우 군(서전마을) 등 4명이 심원다움 현수막의 주인공이 됐다.

“고창군 최초 실뱀장어 잡이 시작! 63년 잡았당께!” “우리나라에서 나만큼 이장을 많이 한 사람 있으면 알려주소! 이장만 47년 했당께!” “내 손은 약손! 어깨가 아프면 이박사에게 오랑께! 15년간 공부했당께!” “내 나이 아시오! 빵살 아니 한 살! 심원면 제일의 간난아이 ‘ㅎㅎ’” 등 재미있는 소개글과 사진이 실린 현수막이 정겨움을 준다.

심원다움 현수막은 지난 7월 부임한 라남근 면장의 작품이다. 방치된 면사무소 앞 현수막 게시대를 활용하고 면민들의 자긍심을 고취시킬 방안을 고민하던 중 생각해 냈다. 심원면의 이야깃거리가 되는 면민을 찾아 주민자치위원회와 협의해 이달의 심원면민으로 선정하고 사진을 촬영해 현수막을 제작한다. 심원면 최고령자 변현순 씨를 시작으로 8월부터 10월까지 모두 12명의 면민이 소개됐다. 새로운 심원다움의 자랑거리가 결정되면 기존 현수막은 회수돼 본인들에게 직접 전달된다.

심원다움 현수막은 출향인들의 애향심도 키우고 있다. 심원면사무소에는 부모님이 소개된 심원다움 현수막 소식을 전해들은 출향 자녀들의 감사 전화가 걸려오곤 한다고 한다. 착한 현수막이 인구 2500여명의 시골 동네 분위기를 바꾸고 있다.

착한 심원다움 현수막과 달리 도시에 걸려있는 현수막은 나쁜 현수막이 대부분이다. 가로수와 전봇대, 신호등을 칭칭 감아 도시 미관을 해치고 환경오염 및 자원낭비의 요인이다. 전북도청 앞 도로에는 추석을 앞두고 정비됐던 불법 현수막 수십 장이 한 달도 안돼 또다시 가로수를 칭칭 감았다.

전주시내 곳곳에는 건물 분양과 행정 홍보 등 다양한 종류의 불법 현수막이 걸려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전주시장 출마예정자 7명은 앞으로 선거관리위원회가 인정하는 공식 현수막 외의 불법 선거 현수막을 걸지 않겠다고 지난 5일 선언했다. 도내 전체 시군으로 확산돼야 할 바람직한 일이다.

착한 현수막은 사람들의 가슴을 따뜻하게 하고 나쁜 현수막은 사람들의 얼굴을 찡그리게 한다. 불법 현수막을 당당히 내거는 양심불량자들보다 도시 곳곳의 나쁜 현수막을 보지 않을 시민들의 권리가 더 중요한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