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소방관서의 소방헬멧·공기호흡기(면체) 세척기 보유율이 2%밖에 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이 소방청으로 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소방관서 1089곳 중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를 보유한 곳은 304곳으로 보유율이 28%에 그쳤다.
소방청은 ‘소방장비 분류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소방서·119안전센터별로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를 1대씩 비치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북지역 소방관서 51개 중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를 보유한 곳은 1곳에 그쳤다.
전국으로 봤을 때도 제주(138%), 대구(131%), 서울(102%)를 제외한 시·도 소방본부에서는 이를 지키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유율이 10%도 되지 않는 시·도 소방본부는 18곳 중 10곳으로, 창원(7%), 충북·충남·전남·경남(5%) 부산(3%), 전북(2%) 순으로 조사됐다.
또한 올해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 구입 예산은 서울, 광주, 충남, 창원만 편성됐을 뿐, 나머지 14곳은 예산이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병도 의원은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는 화재진압 후 유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하기 위한 필수시설”이라면서 “전 지역에 1대씩 비치될 수 있도록 조속히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전북소방본부 관계자는 “소방헬멧·공기호흡기 세척기 도입을 검토 중”이라면서 “현재는 호흡기 제조사 권장사항에 따라 헝겊 등으로 관리를 하고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새것으로 교체를 해주는 식으로 관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