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주시지부(지부장 김문영)가 민주노총 전국공무원노조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민주노총 전국공무원노조 탈퇴를 위해 이틀 동안 진행한 조합원 총투표에서 절반 이상의 찬성표가 나왔지만, 찬성표가 투표자의 3분의 2 이상을 넘기지 못하면서 부결됐다.
17일 전주시 등에 따르면 전주시지부는 지난 14일부터 이틀 동안 ‘민주노총과 전공노 탈퇴 및 조직 형태 변경 조합원 총투표’를 실시했다.
조합원 204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는 1651명이 참여해 80.7%의 투표율을 기록했다. 투표 결과 민주노총·전공노 탈퇴 찬성이 887표(53.7%), 반대 735표(44.5%), 무효 29명(1.8%)으로 집계됐다.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과 ‘전주시지부 운영규칙’에는 전체 조합원 절반이 투표를 참여하고, 3분의 2 이상이 탈퇴를 희망해야 한다고 규정돼 있다. 전체 조합원 절반 이상의 투표 참여 요건은 충족했지만,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나오지 않아 부결됐다.
앞서 전주시지부는 민주노총·전공노의 조합비 불평등과 정치적 투쟁 우선, 조합원 권리 보호 소홀 등을 이유로 탈퇴를 추진해왔다.
특히, 조합비의 경우 전주시지부는 조합비를 1만 2000원 납부해왔는데, 72개 다른 지부에서는 1000원~3000원을 납부하고 있다는 게 전주시 노조의 설명이다.
민주노총·전공노 탈퇴를 위한 투표가 부결됨에 따라 전주시지부 내 갈등 해소와 봉합이 과제로 남았다는 평가다.
한편, 현재 도내 14개 시·군 가운데 남원과 부안, 순창, 장수, 무주, 전주 등 6개 시·군은 민주노총 소속이며, 전북도는 한노총, 나머지 시·군은 별도 독립노조로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