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전국 229개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39%인 89곳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했다. 전국 기초자치단체 10곳 중 4곳은 인구가 줄어 앞으로 소멸될 수 있다는 얘기다. 89곳의 인구감소지역에는 전북지역 시·군 10곳이 포함됐다. 도내 시·군 14곳의 71.4%에 해당되는 숫자다.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높은 인구감소지역 비율이다.
행안부는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지원책도 발표했다. 내년부터 신설되는 지방소멸 대응기금을 매년 1조 원씩 10년간 인구감소지역에 집중 투입해 일자리 창출, 청년인구 유입, 생활인구 확대에 나선다. 인구감소 대응과 관련한 52개 국고 보조사업에 2조 5600억원을 투입한다. 각종 지원 근거 마련을 위해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을 제정하고, 2개 이상 지자체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는 특별지자체 설치도 유도한다.
그러나 정부의 인구감소지역 지원 대책이 단기적으로는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지방소멸을 막는 근본 대책이 될 수는 없다. 정부가 수도권 집중 문제 해결 방안으로 메가시티 구축 계획을 내놓은 상황에서 전국 89곳의 인구감소지역을 동일한 기준으로 지원할 경우 오히려 특정 지역의 인구감소와 지방소멸을 가속화시킬 수도 있다.
정부는 이미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세종·충북·충남, 광주·전남 등 전국 11개 시·도를 4개 메가시티로 육성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메가시티 육성 정책은 고스란히 메가시티내 인구감소지역에 혜택으로 돌아간다. 정부는 부울경 메가시티의 장래 인구 계획을 지금보다 200만명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하는 등 4개 메가시티들의 인구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지자체가 스스로 인구감소 원인을 진단하고 지역 주도의 상향식 인구활력 계획을 수립하면 재정지원과 특례를 부여하겠다고 한다. 정부가 4개 메가시티 지원을 공식화한 상황에서 전북과 강원, 제주처럼 메가시티가 없는 지역을 전국 89곳의 인구감소지역과 경쟁시키는 것은 형평에 맞지 않는 일이다. 정부의 메가시티 육성과 인구감소지역 지원 대책이 또 다른 소외와 차별, 낙후 격차를 심화시키는 정책이 되어서는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