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it’ 명령어 누락에 대규모 KT 통신대란 초래

야간 아닌 주간 작업 · 작업관리체계 부실 등 원인
KT 측 이용자 피해현황 조사 · 피해구제 방안 마련 추진

대규모 통신대란을 일으켰던 KT 사태가 총체적인 관리 등의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결과가 나왔다.

지난달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는 KT 장애의 원인 조사·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과기부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25일 오전 11시 16분께 시작돼 낮 12시 45분께 복구가 완료될 때까지 약 89분간 서비스 장애를 발생시켰다.

사고 원인은 KT 협력업체 직원이 부산에서 기업망 라우터(네트워크 경로 설정 장치)를 교체하던 중 이 라우터에 입력해야 하는 명령어 가운데 하나인 ‘exit’를 누락한 게 원인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잘못된 명령어로 잘못된 데이터들이 전국으로 퍼지면서 이 같은 혼선이 발생했다는 것이다.

과기부는 이러한 문제들이 KT 측의 관리적·기술적 문제점에서 기인했다고 밝혔다.

당초 KT 네트워크관제센터는 야간작업을 승인했으나 주간에 작업이 수행됐고 이 과정에서 KT 협력업체 직원들끼리만 작업을 수행해 작업관리체계가 부실하게 이뤄졌다는 것이다.

기술적으로도 사전검증 단계에서 ‘exit’ 명령어 누락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과기부는 설명했다.

과기부는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주요통신사업자 네트워크의 생존성·기술적·구조적인 대책이 담긴 ‘네트워크 안정성 확보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KT 측은 이용자들의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피해 현황 조사 및 피해구제 방안 마련을 추진하고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용자 피해구게 방안 이행 여부를 점검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