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숙 여사의 한지가죽 가방

김은정 선임기자

삽화 = 정윤성 기자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문재인 대통령과 함께 이탈리아를 방문한 김정숙 여사의 검정색 핸드백이 화제다. 김 여사의 핸드백은 한지로 만든 ‘비건(Vegan) 가방’이다. 김 여사는 지난 달 31일 로마 카피톨리니 박물관에서 열린 대통령 배우자 프로그램 행사에서 “일년생 닥나무로 만들어 숲을 사라지게 하지 않는” 한지를 설명하며 그 한지로 만든 핸드백을 “사람을 위해 자연을 해치지 않는 물건” 이라고 소개했다. 스페인 베고냐 고메즈 총리 부인은 “가방이 너무 아름답다”며 “전통과 자연을 보존하기 위해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고 있는 것은 지구를 위해 바람직한 일”이라고 반겼다.

김 여사의 핸드백은 ‘비건 가방’을 만드는 국내 신생업체의 상품이다. ‘블레드 깃털백’이란 이름으로 출시된 이 핸드백은 깃털 같은 가벼움과 내구성을 지닌 것이 특징인데, 한지의 특성인 가벼움을 내세워 ‘500g의 기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비건 제품’은 아직 익숙하지 않지만 식품 뿐 아니라 패션계의 트렌드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 회사들이 친환경소재로 만든 가방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비건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비건 제품은 외국에서 먼저 시작돼 개발된 소재들이 적지 않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비건 제품의 소재를 대부분 수입산에 의존하고 있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런 환경에서 새롭게 주목받게 된 한지 가죽은 우리나라에서 개발하고 제작한 순수 국내산이다. 동물 가죽보다 경량성과 내구성이 월등하고 방수성과 통기성도 좋은데다 자체 항균력이 99.9%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사실 한지로 만든 가방과 의류 등 생활 소품은 한지공예가들의 주도로 우리 지역에서도 꽤 오래전에 개발되었다. 한지 가죽으로까지 발전시키지는 못했으나 한지의 쓰임과 가능성을 여는 시도로 관심을 모았던 당시의 공예품들은 아마도 오늘날의 한지 가죽 제품을 개발하는 기반이 되었을 것이다.

들여다보니 한지 가죽은 비건 제품을 생산해내는 재료로서 이미 수입산 가죽과 어깨를 겨루고 있다. 그 쓰임도 옷과 신발, 가방 등 패션 제품과 생활 소품, 가구까지 확장되어 있고, 자동차 내장재 소재로 활용할 수 있는 물성 연구도 진행 중이다. 탄소 배출에 대한 제재가 늘어나고 있는 환경에서 친환경 소재로서의 장점을 가진 한지는 외국 업체들에게도 관심의 대상이니 그 확장성이 기대된다.

김정숙 여사의 핸드백을 만든 회사의 온라인 몰에서는 한지가죽 가방 품절 사태가 벌어지고 있는 모양이다. 일시적인 현상일수도 있겠으나 어찌됐든 한지의 변신이 가져온 결실이 반갑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