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아침을 여는 시] 전주비빔밥

송희

한여름 쪽마루에 앉아

맨밥에 고추장 넣고 버무린 비빔밥은

마냥 군침이 돌았다

사기그릇에 맹물 한 대접도

저절로 따라 온다

예로부터 전주비빔밥은

오직 젓가락으로 비비라 전해져 왔다

나락 냄새와 오방색을 살살 받들면

서로서로 윤기가 난다

왼손과 오른손

동서남북 기운이 하나로 어우러져

온전한 비빔밥이 된다

잘 섞는다는 것은

내 빛깔을 걸러서

상대가 피어나도록 곁을 내어주는 것

서로 부대끼는 동안 두루두루

매끄러운 참기름을 둘러주는 것이다

내 것도 한술 떠보시게

 

--------------------------------------------

 

△입맛을 다시며 맛있게 읽히는 시다. “내 빛깔을 걸러서/ 상대가 피어나도록 곁을 내어주는” 전주비빔밥의 깊은 맛은 음미해 본 사람만이 안다. 그냥 참기름을 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부대낌을 윤택하게 하는 것이라니 시가 놀랍다. 전주비빔밥을 먹었을 나에게 화자는 “내 것도 한술 떠보시게” 숟가락을 내민다. 서로 부대꼈던 코로나의 아픔도 어우러지면 치유가 될 것 같아 시가 맛있다. 비빔밥의 어울림에서 서로를 배려하는 오방색을 받든다니 감탄이 저절로 나온다. /이소애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