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의 딸이면서도 엄마인 이일순 작가의 ‘네게로 오는 길’ 展

오는 27일까지 서학동 사진관서
초대작가 5명과 함께 노래하는 ‘엄마’들의 이야기

'네게로 오는 길' 전시 초대장(이일순, 75x75cm, 캔바스 위에 아크릴, 2021) /이미지 출처 = 서학동 사진관 홈페이지

서학동 사진관에서는 오는 27일까지 이일순 작가와 그의 딸, 지인이 함께하는 전시회가 열린다.

이번 전시는 이일순 작가 외에도 김미경(한국화)·김영란(서양화)·김선강(한국화)·양순실(서양화)·김수화(서양화) 작가가 참여했다. 이들은 모두 현재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하고 있거나, 신예작가로 활동하고 있는 자녀를 둔 엄마들이다. 이일순 작가는 전시를 통해 같은 대를 잇는 만남에 대해 생각해 보고, 공감과 연대의 시간을 만들어보고자 기획했다. 전시의 주제는 ‘네게로 오는 길’이다. 평면회화, 설치작품 등 다양하게 표현한 작품들이 전시된다.

작가의 전시는 ‘꿈’에서 시작됐다. 작가의 어머니가 꾼 작가의 태몽, 작가가 꾼 딸의 태몽이 전시회까지 인도했다. 작가는 ‘활짝 핀 호박꽃’이었다. 작가의 어머니가 꿈에서 마당 수돗가에 연 탐스러운 호박과 활짝 핀 호박꽃을 보았기 때문이다.

“빨간 스웨터를 입은 여자아이가 나무들 사이를 달리고 있었다. 한참을 달리다가 멈춰 서서 하늘을 올려다본다. 일식이 일어나고 있었다. (중략) 일식 현장의 바로 옆에서 동시에 월식이 일어나는 것이다.”

작가의 딸은 '빨간 스웨터를 입은 여자아이'였다. 이 작가는 딸이 어릴 때 했던 말에서 영감을 받았다. 딸은 이 작가에게 “내가 하늘나라에서 아빠랑 엄마를 끈으로 묶었어. 그리고 내가 여기에 태어난 거야!”라고 말했다. 이일순 작가에게 이 한 마디는 평생 숙제가 됐다. 작가가 딸, 그리고 같은 길을 걷고 있는 딸을 둔 엄마들을 초대한 이유다.

이일순 작가는 작가 노트를 통해 “태몽은 세상에 내가 탄생함을 알리는 초대장으로서 탄생에 대한 기대와 만남을 준비하는 특별한 의식이다. 이번 전시를 통해 어머니와 나, 또 나와 내 아이의 탄생의미를 생각해 보며, 누군가와 만난다는 운명, 세상이 이어준 인연에 대해 잠시 멈춰 생각해 본다”고 전했다. /박현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