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요소수 대란’ 대응 제대로 하라

요소수 품귀로 나라가 들썩이고 있다. 경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일반 화물차량은 물론 소방차·구급차와 청소차 등 공용차량 운행에 까지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요소수 수입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 매점매석에 대한 강력한 처벌 의지를 밝히는 등 수급대책을 추진중이다. 대통령과 청와대까지 비상대응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 전북도가 제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디젤 차량의 매연 저감에 사용되는 요소수 하나가 국가 물류체계를 마비시키고 우리 사회의 공공 안녕을 위협할 수 있다는 경고에 청와대도 긴장하고 있다. 청와대는 지난 5일 요소수 대란 해결을 위해 관련 비서관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고,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8일 “수급 안정을 위해 가용한 모든 방법을 동원해 국내외적으로 발 빠르게 대응하라”고 지시했다.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요소수 수급대책 추진도 활발하다. 충북도는 요소수 대란 장기화에 대비해 지난 8일부터 차량용 요소수 공급 특별대책반 가동을 시작했다. 특별대책반은 요소수 관련 분야별 현황 파악과 대응 방안 마련에 나선다고 한다. 충북도는 피해신고센터를 운영해 피해기업에 중소기업육성자금도 지원한다. 경기도도 시·군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경유 차량 운행 자제 등 긴급 대응책 시행에 나섰다.

이와달리 전북도는 부서별 공조 체계도 구축하지 못하는 등 요소수 대란에 대응할 컨트롤타워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요소수 대란은 물류뿐만 아니라 건설과 제조업 전반에 연쇄 타격을 줘 건설·산업·환경 등 실국별 공조 체계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전북도는 컨트롤타워 없이 부서별 개별 대응으로 혼선을 빚고 있어 현황 파악과 대책 수립이 제대로 이뤄질 지 의문이다.

익산시와 완주·진안·무주·장수군은 지난 8일 호남 유일의 요소수 생산업체인 익산소재 (유)아톤산업과 지역 등록 차량에 대한 요소수 우선공급 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지자체는 9일부터 지역에 등록된 개별 화물차량과 건설기계, 일반승용차를 대상으로 요소수 공급을 시작했다. 협약을 성사시킨 해당지역 단체장과 국회의원의 열정에 전북도가 반성해야 한다. 14개 시군의 고른 요소수 대책 마련에 전북도의 분발을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