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9일 “정확히 우리 정부 임기 6개월이 남은 시점”이라며 “정부는 마지막까지 민생에 전념하며 완전한 회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임기는 내년 5월 9일까지다.
문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남은 임기 동안 코로나 방역과 경제회복에 총력을 기울일 것을 밝히면서 “급변하는 대전환의 시대에 맞게 국가의 미래를 준비하고, 선진국으로서 국제사회에 대한 책임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코로나19와 관련해 “단계적 일상회복이 시행되면서 국민의 일상이 활력을 되찾고 있다. 모두의 노력으로 높은 백신접종률을 달성했기 때문에 자신 있게 일상회복의 길로 나아갈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일상회복을 시작했다가 다시 어려움을 겪는 나라도 많다”며 “우리는 뒷걸음질 치는 일 없이 완전한 일상 회복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부가 상황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일상회복은 결국 우리가 만들어나가는 것”이라며 “그동안 잘해왔듯이 우리 모두 성숙한 공동체 의식으로 힘을 모은다면 성공적 모델을 만들어내고 K방역을 완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최근 리스크로 떠오른 요소수를 비롯한 현안들을 열거하며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요소수 공급 차질과 관련해 “정부는 외교역량을 총동원해 해외 물량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급한 곳은 공공부문 여유분을 우선 활용하고, 긴급 수급조정 조치 등으로 수급 안정화에 만전을 기할 것”이라면서 지나치게 불안감을 갖지 말아 줄 것을 당부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른 원자재 수급 문제의 점검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지금까지 첨단 기술 영역 중심의 전략 물자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으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된 품목까지 관리 범위를 넓혀 수입선 다변화와 기술 자립, 국내 생산 등 다양한 대책을 강구해 달라”고 말했다.
또한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과 공급 병목 현상 등으로 인한 물가 불안요인에 대한 대비도 철저히 해 달라”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문 대통령은 최근 7박9일간의 유럽순방 결과에 대해 “숨가쁜 일정이었지만 성과가 적지 않았다”며 “격상된 한국의 위상을 실감했고, 한반도 평화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도 거듭 확인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배터리, 전기차, 신재생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했고, 세계 경제의 큰 위험으로 떠오른 공급망 불안 해소에 대해 공동의 대응 의지도 모았다”고 설명했다.
문 대통령은 비세그라드 그룹(V4, 헝가리·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과의 경제협력 폭을 크게 넓혔다고 소개하면서 “많은 나라가 우리의 성공적인 경험을 알고 싶어 했고 협력을 희망했다. 우리는 어느덧 세계가 인정하고 부러워하는 나라가 됐다”며 “모두 우리 국민이 이룬 국가적 성취이며 자부심도 우리 국민이 가져야할 몫”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