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수학 난이도 비교적 ‘높고’ 국어 ‘쉬웠다’

18일 치러진 2022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는 체감난이도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됐고, 입시기관들은 대체적으로 평이하거나 쉽게 출제됐다고 분석하고 있다.

위수민 수능 출제위원장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수능체제의 변화가 있었지만, 예년의 출제기조를 유지하고자 노력했다”면서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에 맞춰 출제하고, 대학 교육에 필요한 수학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말했다.

이어 공통+선택과목으로 치러지는 국어 및 수학 영역에 대해 “선택과목에 따라 수험생 간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하고자 했다. 수학 영역은 종합적 사고를 요구하는 경우에도 지나치게 어려운 문항은 피하려고 노력했다”고 강조했다.

입시학원 관계자들도 과목별 분석에 따라 올해 수능이 비교적 쉽게 출제됐다는 의견을 내놨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국어 영역이 예상보다 쉽게 출제됐다. 지난해 지난해 수능과 지난 6월 치러진 모의평가보다 쉽게 출제됐지만 9월 실시된 모의평가 보다는 어렵게 출제됐다. 반면 시험문제 독서파트 문항에서 헤겔 변증법(4~9번), 기축통화 관련 경제(10~13번)이 어렵게 출제돼 최상위권 변별력이 요구됐으며, 선택과목인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모두 쉽게 출제됐다.

수학 영역은 지난 6월과 9월 치러진 모평 수준만큼 어렵게 출제돼 고득점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종로학원은 공통과목이 어렵게 출제되고, 상대적으로 선택과목인 확률과 통계에서는 쉽게 출제된 것으로 봤다. 표준점수 분포상에서도 공통과목은 어렵게 출제, 확률과 통계가 미적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출제되어 1, 2등급 진입에서도 확률과 통계를 선택한 학생들은 어려움 예상될 것으로 봤다.

영어 영역은 전년 수능보다 어렵고, 6·9월 모평과 비슷한 수준으로 출제될 것으로 봤다. 문장의 길이가 길고, 어휘 수준도 높아 독해력이 부족한 학생들에게는 까다로운 시험이었다는 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