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탈퇴 부결 후폭풍… 전주시 복수노조 체계로 개편

전공노 · 민주노총 탈퇴 부결 후…600여명 한국노총 가입

전주시 노동조합 사이에 미묘한 갈등 양상이 비치고 있다. 전주시청이 복수 노조 체계로 개편되면서 조합원 확보를 위한 움직임이 가속화 하고 있다는 후문이다.

지난 1일 한국노총 소속 전주시공무원노동조합이 설립되며 전주시청은 복수 노조 체계로 개편됐다. 기존 민주노총 소속인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전북지역본부 전주시지부와 새롭게 설립된 한국노총 계열 전주시공무원노동조합의 ‘한 지붕 두 가족’ 체계가 만들어졌다.

이는 전공노 전주시지부가 지난달 민주노총·전공노 탈퇴를 위한 투표를 진행했다가 부결된 파장이 일파만파 확산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전주시 공무원 조합원 2045명 중 1651명(80.7%)이 참여한 총투표에서 전공노와 민주노총 탈퇴 찬성이 887표(53.7%), 반대 735표(44.5%), 무효 29표(1.8%)로 집계됐다. 탈퇴 조건은 전체 조합원 절반 이상의 투표 참여와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를 얻어야 하기 때문에 부결됐었다.

이를 계기로 기존에 민주노총 탈퇴 의향을 밝혔던 조합원들이 전공노 전주시지부 탈퇴 후 한국노총 계열인 전주시공무원노동조합에 가입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전주시공무원노동조합에 따르면 현재 600명 가량의 조합원이 가입했다. 민주노총·전공노 탈퇴를 위한 총투표 당시 찬성 인원인 887명의 상당수가 가입한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한국노총 계열인 전북도청 공무원노조는 지난 17일 ‘전주시 노조가 한배에 올라탄다’며 환영하는 자료를 내기도 했다.

민주노총 소속인 전주시지부는 현재 지부장과 사무국장 등 새로운 임원 선출 선거(12월 8~9일)를 앞두고 있는 만큼 향후 지도부 구성 이후 본격적인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향후 조합원 문제 등 양 노조 사이에 갈등이 깊어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는 만큼 선제적인 갈등 봉합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