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5월 15일 서울 명동성당에서 ‘88 서울올림픽 남북공동개회를 위한 마라톤대회’가 열렸다. 김제에서 태어난 조성만(1964∼1988) 열사는 당시 서울대 화학과에 재학 중이였다. 조 열사는 마라톤 출발 직후 성당 교육관 옥상에 올라가 ‘군사정권 반대, 양심수 석방,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을 외치며 할복한 뒤 투신해 숨졌다. 그의 나이 23세였다.
조 열사의 희생은 전두환-노태우로 이어지는 신군부세력이 이끌던 군사정권에 대항해 민주주의의 발전에 초석을 다졌다고 평가되고 있다.
이런 조 열사를 기리고 기억하기 위한 조석만기념사업회가 조열사 투신 33년 만에 창립됐다.
조성만 기념사업회 설립준비위원회는 지난 20일 오후 3시 전주 치명자성지 세계평화의전당에서 창립총회를 가졌다. 이날 창립총회에는 조 열사와 관계가 깊은 문규현 신부, 조 열사의 아버지, 조 열사의 친구들이 참석했다.
기념사업회 창립이 결실을 본 것은 문규현 신부가 적극 제안하면서부터다. 문 신부는 지난 5월 말 열린‘꽃심순례포럼’에서‘조성만과 문규현’이란 주제로 강연한 뒤 사업회 결성을 주도했다. 문 신부는 1980년대 초반 전주교구청 청소년 담당 사제로 일할 때 해성고 학생이던 조 열사와 첫 조우했다. 1984년 서울대에 입학한 조 열사는 문신부를 찾아와 사제의 길을 걷고 싶다는 의향을 밝혔는데 문 신부가 말렸다고 한다. 조 열사는 이후 미국 메리놀선교회로 연수를 갔다가 1988년 봄 논문 준비를 위해 잠시 귀국했다. 그리고 그해가 조 열사를 마지막으로 본 때였다. 그는 앞서 전주 중앙성당에서 문 신부의 형인 문정현 신부로부터 영세를 받기도 했다.
기념사업회장을 맡은 문 신부는 “석만이가 꿈꾸던 세상은 남북이 하나되고 한반도에 평화가 정착되는 것이었다”면서 “하지만 지금 우리는 아직도 석만이가 꿈꾸고 세상을 향해 외쳤던 그 시대는 오지 않았다. 이제는 석만이를 개인에 대한 기억이 아니라 모두의 기억으로 만들고, 그에 대한 노력을 널리 알리기 위해 창립총회에 참석하신 모든분들께 감사하다”고 말했다.
기념사업회는 매년 5월 15일 조성만기념일 행사를 열고 기념비와 조형물 건립운동도 펼칠 예정이다. 또 학술·문화·교육 사업과 ‘조성만 청년평화상’도 제정키로 했다.
한편, 2001년 8월 민주화운동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는 조 열사를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했다. 지난 6월에는 국민훈장 모란장에 추서됐다. 모교인 전주 해성고에는 추모비가 건립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