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 가능 연한 문제와 대체 시설 건립 등 지속해서 문제가 제기된 ‘전주권소각자원센터’가 새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한국환경공단에서 최근 전주시에 소각장을 ‘신설’하라는 의견을 통보하면서, 오는 2026년 현재 소각자원센터의 운영 연한 종료를 앞두고 대체 시설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24일 전주시의회가 전주시 정원도시자원순환본부를 상대로 진행한 행정사무감사에서 전주권소각자원센터 문제가 집중 조명됐다.
특히, 이날 감사 과정에서 전주시가 한국환경공단으로부터 최근 소각장 신설 통보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전주시에 따르면 한국환경공단에서 기술진단을 통해 해당 소각장에 대한 보수 또는 신설을 검토해 왔다. 소각장 운영 14년이 지나면 의무적으로 받아야 하는 진단이다. 한국환경공단은 최근 소각장 보수가 어렵다고 결정하고, 신설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주시에 통보했다. 이에 따라 전주시로써는 오는 2026년까지 기존 소각시설을 대체할 시설을 갖춰야만 한다.
대표적인 주민 혐오·기피 시설로 여겨지는 소각장은 부지선정 과정에서부터 주민동의를 받아야 하는 등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 더욱이 이 과정에서 주민과 전주시, 업체 등 만만치 않은 진통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그 때문에 전주시가 기존 소각장 대체 방안의 하나로 추진했던 ‘플라즈마 소각시설 시범사업’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시는 지난 2020년 1월 21일 한 업체와 ‘플라즈마 소각시설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2022~2023년 현 소각장에서 발생한 하루 물량 중 20톤가량을 처리토록 하는 시범사업이다. 그러나 당초 계획과 달리 환경부로부터 통합환경허가조차 반려되는 등 사실상 사업이 멈춘 상황이다. 현재도 건축 허가만 취득했을 뿐 다른 행정절차도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다.
이와 관련해 박병술 시의원은 “2026년까지 대체 소각장을 갖춰야 하는데 시범사업 진행도 못 하면서 시간을 낭비해 부작용이 우려된다. 쓰레기 대란이 오지 않도록 대비를 잘해야 한다”며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업체와의 법정 다툼 등 문제도 최대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