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세무서 이전 후속대책 마련 시급”

현 남중동 익산세무서, 내년 하반기 영등동 국가산단으로 이전 예정
강경숙 익산시의원, 이전 후 일대 공동화 우려하며 대책 마련 촉구

강경숙 익산시의원

익산세무서 이전 후 기존 남중동 일원 공동화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현재 남중동에 있는 익산세무서는 영등동 익산세관과 합치는 통합청사 신축사업에 따라 내년 하반기 영등동 국가산업단지로 이전될 예정이다.

하지만 그동안 인근 주민들은 세무서 이전이 주민설명회 한 차례도 없이 밀어붙이기식으로 추진됐을 뿐만 아니라 이전에 따른 일대 공동화와 상권 몰락을 우려하며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내 왔다.

현재 익산세무서와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을 중심으로 인근에 회계사·세무사 사무실과 식당, 커피전문점 등 상권이 형성돼 있는데, 세무서가 이전하면 일대 상권이 일시에 무너져 공동화 현상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그동안 주민 목소리를 대변해 온 강경숙 익산시의원은 25일 제239회 익산시의회 정례회에서 5분 자유발언에서 세무서 이전에 따른 후속대책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는 “익산세무서에는 현재 직원 100여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업무와 연계된 54개의 회계사·세무사 사무실이 있고 업무차 방문하는 민원인들까지 합치면 유동인구가 상당할 것으로 파악된다”면서 “하지만 내년에 익산세무서 직원을 포함해 회계사·세무사 직원들까지 영등동 국가산단으로 이전하게 된다면 현재 세무서 앞에 조성돼 있는 상권은 무너질 수밖에 없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 “코로나19 발생 이후 익산지역 내 소상공인 폐업자 수가 지난해 한해에만 4608명에 달하는 등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이 대규모 실업과 폐업으로 생계의 위협을 넘어 생존의 위기에 처해 있는 상황에서 아무런 대책 없이 익산세무서가 이전된다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의 몫이 될 것”이라며 “세무서 이전은 단순하게 생각할 문제가 아니라 이전 후 시차 없이 다른 기업이나 기관이 들어설 수 있도록 하는 후속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익산세무서 이전 후 빈 건물을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서 관련기관과 긴밀한 협의가 필요하다”면서 “후속대책이 톱니바퀴가 맞물려 돌아가듯 빈틈없이 이뤄져 세무서 이전에 따른 주변 상권 공동화나 슬럼화가 발생되지 않도록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익산시에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