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년 12월 대선공약 국책사업으로 추진된 새만금은 여의도 면적의 140배 규모의 국내 최대 간척사업으로 ‘기회의 땅’으로 불렸다.
지난 1991년 11월 28일 첫 삽을 뜰 때만 하더라도 큰 기대를 받고 출발했지만, 사실상 30년 째 표류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초라한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정권이 바뀔 때마다 새만금에 대한 그림은 달라졌고, 그 때마다 내놓은 장밋빛 청사진은 지지부진을 거듭하며 공염불에 그치기 일쑤였다.
특히 ‘동북아경제 중심지’, ‘한국판 두바이’ 등 구호만 요란했지 어느 것 하나 자신 있게 내세울 만한 것이 없다는 게 오늘날 새만금의 현주소다.
이런 상황에서 28일 군산JC 회의실에서 열린 ‘새만금 착공 30주년 기념 정책 포럼’은 잃어버린 30년을 되돌아보고, 미래 비전 및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더했다.
이날 포럼은 ‘새만금 100년 미래를 생각한다’라는 주제로, 호남제주 정책연대포럼 및 에너지과학도시군산사랑모임이 주최하고 전북일보가 후원했다.
첫 발표자로 나선 정용훈 카이스트 교수는 군산과 새만금을 원자력 발전선의 수출기지로 구축하는 방안을 내놨다.
정 교수는 “해상 추진용 소형 원전은 입증된 기술이자 안정적인 무탄소 전력 공급원”이라며 “퇴역하는 석탄 화력을 대체하는 미래의 에너지이자 충분한 개발 및 성공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세계적으로 소형 원자로를 탑재한 원자력 추진 잠수함과 항공모함 등이 운항 중이만 앞으로 대형 상선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현재 가동이 중단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에 원자력 발전선을 건조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두 번째 발표자인 박우규 전 한전해외사업처장은 새만금을 그린수소경제의 메카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박 전 처장은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해외에서 수소 2200만톤(81%)를 수입할 예정으로, 수입수소 가격을 제외하고 액화 및 수송·저장에만 66조원이 소요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는 “해외 도입 수소 수입대체가 최대 관건이 되고 있다”면서 “수소의 해외 수입 대체 및 해외 수출을 위해서는 원자력 활용이 필수적“이라고 덧붙였다.
박 전 처장은 “새만금 일대에 원자력 기반 그린수소 생산 클러스터 구축 및 그린수소, 스마트 그리드·팩토리·스마트팜을 통합한 산업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그린수소 생산 저장 수송 및 활용을 위한 수소 생태계 구축 등 글로벌 그린수소 메카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고 피력했다.
세 번째 발표자인 최연성 군산대 교수는 디지털 새만금의 개발 패러다임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디지털 전환시대를 맞아 가치가 이동하고 있다”며 “전북은 여전히 생산 제조업 중심이다 보니 생산기술 이외에는 신기술에 대한 R&D가 턱없이 부족하다”며 “이런 악순환의 고리를 차단할 수 있는 있는 혁신 제조업으로 과감히 전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그 동안 새만금에서 진행되는 여러 사업들이 충분한 검증 없이 즉흥적이고 일방적으로 추진된 점이 있다”면서 “이제라도 100년의 미래를 바라보면서 지속가능한 신산업을 찾아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