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영대 더불어민주당 의원(군산)이 “21대 국회 등원 1년 안에 군산조선소를 반드시 재가동 시키겠다”는 자신의 총선 1호 공약을 결국 실현했다. 한 때 실현이 불가능하다고까지 평가됐던 공약이 현실화하면서 전북정치권 내에서 신 의원의 입지강화에도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신 의원이 공약을 내걸 당시엔 현대중공업 차원에서의 소통도 전무했고, 조선업을 둘러싼 상황도 좋지 않아 ‘총선용 허풍’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당선 이후 내내 조선소 재가동을 호언장담했고, 지난해 6월 국회의원 활동을 시작한 이후 1년 4개월 만에 전북도민들에게 한 약속을 지켜냈다. 이번 성과는 ‘원팀’이 아닌 ‘원맨’이 이뤄낸 쾌거로 더욱 의미가 깊다.
구체적인 재가동 협약체결까지는 2개월이 더 걸렸지만, 조선 산업 관련 예산과 동향, 산업통상자원부·전북도·군산시 등 유관기관들의 준비상황에 비춰볼 때 실질적인 재가동 확정기류는 지난 9월부터 윤곽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신 의원은 군산조선소 재가동을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위원회(이하 산자위)를 상임위로 선택했고, 이후 현대중공업과의 소통을 늘려갔다. 신 의원의 전략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됐는데 첫 번째는 ‘비밀유지’ 두 번째는 ‘제도적인 지원책 마련’이었다. 현대중공업이 세계 시장 장악력을 높여나가는 상황에서 조선업 회복과 기업성장을 위해 국회차원에서 가려운 부분을 긁어줬고 현대중공업도 신 의원의 진심에 화답했다.
국내 조선 업황이 호전된 것도 산자위 차원에서 국내 조선업의 발목을 잡지 않고 부활에 힘을 실어준 것이 주효했다.
신 의원은 조선소 재가동을 위한 준비작업이 순탄하게 진행되고 있었지만, 자칫 정보가 노출되어 일을 그르칠까 염려 오히려 사실을 숨기고 차라리 모든 비난을 홀로 감수하는 쪽을 선택했다.
그는 일부 ‘양치기 소년’이라는 조롱에도 송하진 전북지사와 도 실무진, 현대중공업과의 신뢰를 유지했다. 또 국회에서 조선소 부활에 필요한 제도와 예산문제를 정비했다. 현대중공업 차원에서도 신 의원의 적극적인 역할에 감사를 표하고자 했으나 조선소 재가동까지는 이러한 내용을 일절 함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조선업계의 가장 큰 고민인 국가차원의 인력양성과 원자재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군산조선소 부활의 발판을 만들었다.
신 의원의 공약 실현은 여러 난제가 쌓인 전북정치의 상황에서 “아무리 어려운 공약이라도 진심을 다하면 현실로 만들 수 있다”는 유의미한 사례를 남겼다.